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김태우·신재민 잇단 폭로···그 뒤엔 '늘공 vs 어공' 갈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와대를 향한 잇따른 폭로로 주목받고 있는 김태우(43) 검찰 수사관과 신재민(32)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은 공무원 시험을 통해 공직사회에 들어왔다는 공통점이 있다.

김 수사관은 2003년 4월 검찰 7급 공채로 검찰수사관에 임용, 8년 후(2011년 5월) 6급이 됐다. 그는 최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5급 사무관 승진을 꼭 하고 싶어 청와대가 좋아할 만한 보고만 했다”고 말했다. 또 “공무원을 계속해 20년 공무원연금도 받고 싶었다”고도 했다.

중앙일보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 [유투브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재민 전 사무관은 2012년 행정고시(57회)에 합격, 2014년 공직에 입문했다. 이후 기재부 국고국 등에서 근무하다 올해 7월 사직했다. 신씨는 최근 유투브 개인방송을 통해 “공무원 동기 중에서 잘 나간다는 소리를 들었다”, “지금은 먹고 살 돈이 없어 (폭로) 동영상을 찍게됐다”고 밝혔다.

이들이 몸담았던 청와대나 기재부에선 이들의 여러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다. 김 수사관의 폭로에 대해선 “비위 행위자의 일방적 주장일 뿐”이라고 했다. 신 전 사무관이 주장한 KT&G 사장 교체 시도 등에 대해 기재부는 “신씨가 정확한 상황을 파악할 위치에 있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일각에선 이를 ‘늘공(늘 공무원) VS 어공(어쩌다 공무원)’의 대결로 보기도 한다. 공무원 시험을 치르고 들어온 이들과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정치권 등지에서 들어온 공직자들 사이에서 마찰음이 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앙일보

전직 기획재정부 사무관이 유투브 개인방송을 통해 ’청와대가 KT&G 사장을 바꾸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영상을 올린 이는 신재민씨로 그는 올해 7월까지 기재부에서 사무관으로 근무했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지난 29일 올라온 영상은 온라인을 통해 퍼지고 있다. [유튜브 캡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최근 언론을 통해 공개된 기재부 공무원들의 카카오톡 대화에서도 엿볼 수 있다. 기재부의 상부에서 KT&G 사장 인사에 개입하라는 지시를 청와대에서 받아왔는데, 이후 관련 문건이 유출되자 기재부 실무자에게 책임을 전가한다는 내용이다.

A씨 : “(문건 작성의) 당사자인 차관, 국장, 과장이 알아서 하겠지.”

B씨 : “차관이 최초에 자기가 (청와대에서) 받아와서 지시해놓고”

C씨 : “차관이 ‘그렇게 작성하라’고 시켰다던데, 덤터기를 씌우려고 한다”

D씨 : “팩트는 이거다. 과장이 뭔가를 만들어줘서 난 그냥 (컴퓨터) 폴더에 저장”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온라인 카페에서도 비슷한 반응이 올라오고 있다. “늘공이 힘이 있나. 어공이 점령군인데”, “어디 정당 가서 공적 쌓는게 나을 것 같다” 등의 글이다.

이와 관련해 여권 주변에선 문재인 정부가 3년차에 접어들면서 정부 부처 곳곳에서 이같은 갈등 조짐이 더욱 증폭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역대 정부에서도 정치권이나 시민단체, 학계 등 출신으로 공직을 맡은 ‘어공’과 직업 관료인 ‘늘공’ 사이에 정책수립과 운용에 임하는 관점이 달라 티격태격하는 일이 많았다.

중앙일보

지난 12월 20일 오전 검찰 수사관이 김태우 검찰 수사관과 연계된 건설업체 S사를 압수수색하기 위해 문을 열고 있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의 ‘어공’은 과거 노무현정부 개혁이 ‘늘공’ 때문에 실패했다는 생각도 하고있다”며 “최근 폭로가 ‘늘공’의 누적된 불만일 수 있다고 보고 새해 공무원 조직을 다잡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얘기가 많다”고 전했다.

현일훈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