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서울 교통사고 다발지역 10곳 중 9곳이 교차로··· 교통환경 개선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교차로 개선 사업 실시 후 대구 중구 계산오거리 모습./ 대구시


지난해 서울 시내 교통사고 다발지역 20곳 중 18곳이 교차로인 것으로 밝혀져 교통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서울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총 646건 중 577건(89.3%)이 교차로에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서울 시내에서 교통사고가 가장 잦은 곳은 영등포 교차로(51건)였다. 이어 합정역 사거리, 월암교(43건), 교보타워 교차로(41건), 이수 교차로(40건), 신사역 교차로(36건), 서울역 교차로(35건), 역삼역 교차로, 복정 사거리(30건), 양재역 교차로(29건), 양평동 교차로, 강남역 교차로, 공덕 오거리, 수유 사거리(28건), 신설동 교차로(27건), 청량리역 교차로, 영등포역 교차로(26건) 순이었다.

사고가 빈번한 지역 상위 20곳 중 18곳이 교차로였다. 교통사고 10건 중 9건이 교차로에서 발생한 셈이다. 특히 영등포 교차로에서 사고 건수는 2015년 44건, 2016년 46건, 2017년 51건으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안호영 의원은 "최근 3년간 영등포 교차로는 서울 시내 교통사고 발생 건수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며 "영등포 교차로에 대한 안전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메트로신문사

2017년 서울시 교통사고 다발지역./ 자료=안호영 의원실, 서울시


교차로에서 사고가 잦은 이유는 뭘까. 박정순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은 '신호교차로 안정성 평가를 위한 신호 위반 사고 예측모형 개발' 보고서에서 "교통량, 편도차로수, 교차로면적, 황색신호시간 차이 등의 변수가 커질수록 교차로에서 신호 위반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이어 "신호연동(교차로에 동일한 주기의 신호 시간을 제공해 차량을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제어하는 것) 상태가 양호할수록 신호위반사고 위험교차로로 판단될 확률이 높아졌다"며 "이는 양호한 신호연동상태에서 뒷 차량 속도 증가나 녹색 신호 종료 시점에서 무리한 교차로 진입 등이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대구시는 지난 2014년 말 기준 전국 사고 다발 교차로 상위 20위에 시내 6개 교차로의 이름을 올려 '교통사고 도시'라는 오명을 얻었다. 대구시는 교차로 개선사업을 단행했다. 교통안전점검차량을 투입해 특별도로교통 안전진단을 실시했다.

대구시는 이를 교차로 구조개선 현장에 적용했다. 그 결과 사고 다발 교차로에 포함됐던 죽전네거리, 범어네거리, 계산오거리 등 6개 교차로가 지난 2017년 조사에서 모두 제외되는 쾌거를 거뒀다. 6개 교차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2014년 265건에서 2017년 150건으로 115건 감소했다. 3년 만에 교통 사고율을 43%나 줄인 셈이다.

대구시의 교차로 개선 사업에는 ▲차로 조정 ▲유도선 신설 ▲우회전 차로 속도 저감시설 설치(고원식 횡단보도, 차로폭 축소, 곡선화 등) ▲유턴 구간 조정 ▲무단횡단 방지시설 설치 ▲투광기 ▲신호기 및 횡단보도 정비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한편, 서울시는 교차로 바닥에 '주행유도선(노면색깔유도선)'을 설치해 교차로의 사고 위험을 줄여나가고 있다. 노면색깔유도선은 주행 방향이 여러 갈래이거나 혼동하기 쉬운 교차로에 운전자가 가야 할 방향을 분홍색 바닥선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주행유도선 설치 지점을 20곳으로 확대한 결과 차로변경건수(50%)와 사고위험도(45%)가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교통안전 효과를 분석해 복잡한 교차로에 진입하는 초행길 운전자들이 쉽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사고위험 지점을 중심으로 노면색깔유도선을 확대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hjk1@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