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주노동자는 쓰고 버리는 소모품이 아닙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나절 넘게 일하고도 잔업수당 못 받아”
“文정부 이주민 정책, 이전 정부보다 악화”
서울신문

이주공동행동 등 이주노동자 단체 소속 이주민들이 유엔이 정한 세계 이주노동자의 날을 이틀 앞둔 16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열린 ‘이주노동자 권리선언 기자회견’에 참석해 정부의 불법 체류 이주민에 대한 강제 단속을 규탄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이주노동자는 쓰고 버리는 소모품이 아닙니다. 같은 인간, 같은 노동자입니다.”

유엔이 정한 12·18 세계 이주노동자의 날을 이틀 앞둔 16일 이주노동자들과 인권단체들이 이주민들이 처한 열악한 노동 현실을 개선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주노동자노조, 이주공동행동, 민주노총은 이날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진행한 ‘2018 세계 이주노동자의 날 맞이 이주노동자 권리 선언 기자회견’에서 ▲고용허가제 폐지 ▲사업장 이동의 자유 보장 ▲최저임금 차별 중단 ▲단속추방 중단 등을 요구했다.

현장에선 이주노동자가 저임금 고강도 노동을 하며 착취 속에 있다는 피해 증언이 쏟아졌다. 한 이주노동자는 “새벽 4시 반부터 일해 오전 10시에 밥을 먹고 저녁 7시까지 일하지만, 잔업 수당은 한 푼도 받지 못했다”고 폭로했다. 또 다른 이주노동자는 “난민신청자들은 주로 위험하고 오랜 노동시간이 소요되는 일을 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한국어를 배울 시간조차 없고, 건강보험도 없이 비인간적인 환경에 내몰리고 있다”고 전했다.

문재인 정부를 정조준한 비판도 쏟아졌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문재인 정부의 이주민 정책이 이전 정부보다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면서 “외국인 정책 기본계획이 미흡함은 물론 미등록 이주노동자 단속 강화 계획 등은 과거보다 후퇴한 내용”이라고 지적했다.

우다야 라이 이주노동자노조 위원장은 “임금체불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는데 정부는 오히려 강제추방을 반복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유엔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조속히 비준하고 노동자의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