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3 (월)

김무성 포함 인적쇄신…부산민심 얻을 수 있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역 3명 중 2명 불출마 선언…기준 '모호' 비판

"계파갈등 고려한 조치, 구색 맞추기" 평가절하

뉴스1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과 나경원 원내대표가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자유한국당 조강특위 회의가 열리고 있는 회의실로 향하고 있다. 2018.12.15/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뉴스1) 박기범 기자 =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가 15일 부산지역 현역의원 3명 등 현역의원 21명이 포함된 '인적쇄신' 명단을 발표했지만, 지역 내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부산은 전통적 보수텃밭으로 불렸지만,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연이어 패배하며 한국당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한국당 비상대책위가 발표한 '인적쇄신' 명단 중 부산지역에서는 김무성 의원(중·영도), 김정훈 의원(남구갑), 윤상직 의원(기장) 등 현역의원 3명이 포함됐다.

6선으로 지역내 최다선인 김무성은 보수정치권 좌장 역할을 했지만, 지난 총선파동, 바른정당에서의 복당 등으로 지역 내 비판을 받아왔다.

4선 중진의 김정훈 의원은 새누리당 시절 정책위 의장을 역임한 범친박계로 분류된다. 이로 인해 이번 인적쇄신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는 분석이다.

초선의 윤상직 의원은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맡은 대표적 친박 인사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농단, 촛불집회, 탄핵 등이 이어진 가운데 지역에서 윤 의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

문제는 이들 중 김무성 의원과 윤상직 의원은 지난 지방선거 이후 총선불출마를 선언했다는 점이다.

향후 출마 의사가 없는 이들을 다시 한 번 인적쇄신 이름에 올린 것은 '인적 청산'이란 대의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가다. 특히 김무성 의원은 지난 6월 당협위원장직을 내려놓은 상태다. 김정훈 의원 역시 박근혜 정부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묻기에는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른 현역 의원들과 원외위원장도 인적쇄신과 거리가 멀다는 평가다.

복당파인 김무성 의원은 쇄신 대상이지만, 또 다른 복당파인 장제원 의원(사상), 이진복 의원(동래)은 자리를 지켰다.

복당파로 당협위원장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던 김세연 의원(금정)은 이번에 지역구인 금정구가 쇄신명단에 이름을 올리면서 당협위원장 복귀를 위한 길이 열렸다.

박근혜 정부에서 해양수산부장관을 한 대표적 친박인사인 유기준 의원(서.동구) 역시 앞서 당협위원장직을 박탈당했지만, 지역구가 쇄신명단에 이름을 올려 당협위원장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유 의원은 이번 원내대표 선거에서 중도 하차해, 새롭게 선출된 나경원 원내대표와의 교감설도 흘러나온다.

홍준표 전 대표 측근 인사들의 운명도 엇갈렸다. 홍 전 대표의 최측근인 김대식 전 여의도연구원장의 경우, 그의 지역구인 해운대을이 전직 당협위원장도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공동 공모지역’으로 분류돼 다시 한 번 기회를 얻게 됐다.

반면, 정오규(서동구), 박에스더(북강서갑), 권기우(부산진갑) 등 홍 전 대표시절 임명된 원외 지역위원장은 대거 쇄신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차재권 부경대 교수는 "한국당 입장에선 내부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계파를 고려한 결정"이라고 평가절하 했다.

차 교수는 "과연 부산시민들이 이번 쇄신안을 한국당의 변화로 인식할지는 의문"이라며 "시민들의 공감을 받긴 힘들어 보인다"고 꼬집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부산은 과거 보수텃밭으로 불렸지만 이제는 아니다"며 "보수의 변화는 인적쇄신에서 시작되는데, 불출마하겠다는 사람을 내보낸 것은 인적쇄신과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인적쇄신 기준조차 사실 납득하기 어려운 수준 아닌가"고 되물으며, "결국 구색 맞추기에 그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인적쇄신에 대해 김정훈 의원은 "이번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했다. 윤상직 의원은 "노코멘트"라며 말을 아꼈다.
pkb@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