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불매운동에 판매금지까지… 애플, 58조원 中시장 어쩌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유희석 기자] [美中 무역전쟁에 공급망도 피해… 아이폰 일부, 퀄컴 특허 침해로 판매금지 판결]

머니투데이

애플이 중국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공급망이 직격탄을 맞은 데 이어 특허 침해 혐의로 아이폰 일부 기종의 판매와 수입이 금지됐다. 전체 매출의 20%를 차지하는 중국 시장에서 잇달아 악재가 터지면서 애플의 앞날에도 먹구름이 끼게 됐다.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 반도체 업체 퀄컴은 이날 중국 푸젠성 푸저우시 중급인민법원이 최근 애플의 중국 자회사에 대해 2건의 퀄컴 특허 침해를 인정하고, 아이폰 일부 기종에 대한 판매와 수입 일시 금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특허는 사진 크기 조정과 터치스크린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련 기술인 것으로 전해졌다.

판매 및 수입 금지 대상은 아이폰6S와 아이폰6S플러스, 아이폰7, 아이폰7플러스, 아이폰8, 아이폰8플러스, 아이폰X(텐) 등 7개 기종이다. 모두 애플의 구형 운영체제(OS)인 iOS11를 탑재했으며, 애플이 올해 선보인 iOS12가 적용된 아이폰XS, 아이폰XR 등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애플과 퀄컴은 그동안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애플이 지난해 1월 "퀄컴이 시장의 우월한 지위를 남용해 과도한 기술료를 물리고, 인텔 등 경쟁업체와의 거래를 막았다"며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 규모의 소송을 제기하면서 관계가 급속히 악화했다. 이후 퀄컴이 아이폰의 특허 침해를 물고 늘어지면서 진흙탕 싸움이 계속됐다.

애플은 이날 발표한 반박자료에서 "중국에서 여전히 모든 아이폰을 살 수 있으며, 중국 법원에 항소를 위한 작업을 이미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중국 정췐바오(證券報)는 푸저우법원 관계자를 인용해 "아이폰 일부 기종에 대한 판매 금지는 이미 결정문이 발표됐다"면서 "이번 사안은 항소할 수 없으며 전국적으로 효력이 인정된다"고 했다. 구형 아이폰 판매가 이미 불법이 됐다는 의미다.

악재는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앞서 애플은 무역전쟁으로 중국 내 공급망이 타격을 입었다. 아이폰 조립을 전담하는 애플의 최대 협력업체 폭스콘은 베트남으로 생산 시설을 옮기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다. 지난 1일에는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이 미국의 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캐나다에서 체포되자, 중국에서 애플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도 시작됐다. 이번 법원 명령도 멍 부회장에 대한 캐나다 법원의 심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애플의 중국 사업도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2018회계연도(2017년 10월~2018년 9월) 중국에서만 519억달러(약 58조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체 매출의 20% 수준이다. RBC 캐피탈 마켓는 아이폰 판매의 40%가량이 (중국 법원의 판매 금지 판결에 해당하는) 구형 모델이라면서, 판결이 실제로 적용되면 애플 매출이 약 120억달러가량 줄어들 수 있다고 추산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으로부터의 법적인 타격은 최근 몇 주 동안 애플 주가를 강타한 가장 최근의 나쁜 소식"이라고 했다. 애플 주가는 지난 8월 시가총액이 세계 최초로 1조달러를 넘어섰지만, 지난달 초 이후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현재 시총은 8048억달러로 고점 대비 3000억달러 넘게 쪼그라들었으며, 시총 1위 자리도 마이크로소프트(MS)에게 넘겨줬다.

유희석 기자 heesu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