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3기 신도시 '수소도시'로 키워야"..쏟아진 수소경제 아이디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양영권 기자] [수소경제로드맵 발표 앞두고 '수소경제 컨퍼런스' .. 수소생태계 구축된 '수소도시' 조성 논의 ]

머니투데이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저주기 수소생태계가 구축된 수소도시 개념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기 신도시 중 하나는 '수소도시'로 지정하자."

"산업 인프라가 구축된 혁신도시를 '수소도시'로 육성하자."

지난 7일 서울 중림동 LW컨벤션센터에서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가 공동 주최한 수소경제 컨퍼런스에서는 수소도시 육성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수소도시는 수소의 생산-이송-저장-활용까지 전 주기에 걸쳐 수소생태계가 구축돼 있는 도시를 말한다. 에너지는 전기와 수소만 이용하기 때문에 탄소가 아닌 수소를 주요 연료로 사용하는 '수소경제' 달성을 위해서는 수소도시 조성이 필수적이다. 컨퍼런스는 정부의 '수소경제 로드맵'에 주요 항목으로 들어갈 '한국형 수소도시 조성 방안' 마련을 위한 공론화를 위해 열렸다.

◇"신도시 또는 혁신도시를 '수소도시'로 만들자" = 이날 이재훈 가스안전공사 박사는 "발표를 앞두고 있는 3기 신도시 가운데 한 곳은 3만 세대 정도의 '수소도시'로 지정하고 장차 6만 세대 규모로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박사는 또 전국적인 수소 연결망을 위해 고속도로에 400개 정도 있는 졸음쉼터를 충전·저장소로 활용하고, 앞으로 완공될 제2외곽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과 수소생산기지를 연결하는 망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한 참석자는 이미 산업 기반이 갖춰진 8000세대 규모의 한국가스공사 대구혁신도시, 1만5000세대 규모의 가스안전공사 충북혁신도시 등을 수소도시로 전환할 것을 검토해 달라는 아이디어를 내기도 했다.

수소도시에는 '수소메가스테이션'이 들어서게 된다. 수소를 저장하고, 수소를 전기나 난방열 등으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남는 전기로 수소를 만드는 곳이다. 정시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그룹장은 "버스 차고지나 물류기지 등에 수소메가시스템을 구축해 수소버스와 수소화물차 충전을 할 수 있게 하고 주변 건물과 공동주택에 수소를 공급하는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주요 국가들은 저마다 수소도시를 이미 구축했거나, 조성 계획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일본 기타큐슈시는 시가지를 통과하는 파이프라인으로 일반 가정과 상업시설, 공공시설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타운'프로젝트를 2011년 1월 시행했다.

영국은 인구 8만의 리즈(Leeds) 시의 천연가스 배관망을 2030년까지 100% 수소배관망으로 전환하기 위해 2016년7월 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호주는 지난해 9월 수소 생산·판매, 가격경쟁력 확보방안 등을 담은 '수소로드맵'을 발표하고 수소를 주거용, 운송용 연료로 사용하는 수소도시 시범사업 지정 절차에 착수했다.

수소도시는 산업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한종희 과학기술연구원 본부장은 "한국은 연료전지자동차 분야에서 세계 1,2등 기술력을 갖고 있고 연료전지 생산과 시스템 분야 기술도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이런 기술은 발전시켜서 시장에 진입하게 하기 위해서는 수소도시와 같은 큰 모델을 설정해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민 참여 '포용적 수도도시' 만들어야 = 수소도시 조성 과정에서 주민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의경 국토부 도시정책과장은 과거 수소연료전지차를 관용차로 구매해놓고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 사례를 언급하면서 주민이 참여하는 '포용적 수소도시'를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과장에 따르면 국토부는 2016년 수소연료전지차 투싼ix 두 대를 관용차로 구입했다. 당시 친환경차 보급계획을 세우면서 강호인 장관이 정부부처부터 모범을 보이기 위해 수소차 구매를 지시한 것.

하지만 구입하고 난 뒤 수소차는 주차장에 세워져 있을 때가 많았다. 연료인 수소 충전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연료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차로 한 시간 거리인 충남 내포신도시까지 가야 했다. 한 번 충전하러 다녀오는 과정에서 이미 연료의 4분의 1은 줄어들었다. 또 연료가 4분의 1 밑으로 떨어지기 전에 연료를 채우러 출발해야 했다.

국토부는 세종시에 수소충전소를 만들기 위해 세종특별자치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SK에너지 등을 접촉했지만 모두 시큰둥 했다. 수소 하면 '수소폭탄'부터 연상되는 상황에서 주민들이 반대할 게 뻔하다는 이유였다.

정 과장은 "수소도시를 설계할 때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설문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양영권 기자 indepe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