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靑 "별다른 징후 없다"…김정은 연내 답방 '안갯속'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픈티켓' 받은 北…의제·경호 등 실익 두고 고민 길어지나

일부에선 '내년초 說' 나와…'북미회담 前 성사'로 초점 바뀔까

"이미 연내 답방 물밑조율 됐을 것" 추측도 제기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일정이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답방 일정에 대한 북측의 입장표명이 지연되면서, 현재로서는 논의가 진척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는 여전히 김 위원장이 연내에 서울을 찾을 것이라는 전제 아래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진전 없이 시간이 더 흐를 경우 김 위원장이 연내가 아닌 내년 초에 답방할 가능성도 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연합뉴스

악수하는 남북정상 미술작품 설치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 사랑채 부근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악수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 설치돼 눈길을 끌고 있다. 2018.12.7 photo@yna.co.kr (끝)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9일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지금까지 진척된 상황이 없고 발표할 것도 없다. 별다른 징후가 없다"고 설명했고, 북한의 선발대가 서울을 찾았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동안 청와대 내에서는 김 위원장이 연내 답방을 결심할 경우, 휴일인 이날까지는 북한이 한국 정부에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여기에는 연말에는 김 위원장의 내년 신년사 준비나 김 위원장의 조모인 김정숙의 생일(24일) 등 북한 내부 일정을 고려할 때, 답방 시기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기일인 17일에서 24일 사이가 유력하다는 예측이 전제돼 있다.

청와대 "김정은 답방, 별다른 징후도 없어" / 연합뉴스 (Yonhapnews)


한국 정부의 경호 등 실무준비를 위해 열흘은 필요하다는 점에서, 북한이 연내 답방을 결심할 경우 통보 시기를 더 미루지는 않으리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런 가운데 9일 현재까지 북측에서 연락이 없자 자연스레 내년 초 답방 가능성이 거론되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연내 답방 성사에 무게를 싣는 관측도 많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북측의 통보시점에 대한 마지노선이 있느냐'는 물음에 "그런 건 없다"고 밝혔다.

이는 언제든 김 위원장이 결심해 한국에 통보를 하면 이후 일사천리로 일정조율이나 경호·의전 준비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으로, 설령 12월 중순 후에 북측의 결정이 이뤄지더라도 연내 정상회담을 성사시킬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이 관계자는 "만약 김 위원장이 온다는 결정이 갑자기 이뤄지면 프레스센터 없이 (정상회담 일정을) 치러야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고도 했다.

바꿔 말하면 준비 기간이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거기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얘기다.

결국 김 위원장과 북측의 명확한 의사표시가 나오기 전에는 구체적인 답방 시기를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셈이다.

연합뉴스

김정은 한라산 갈까?…연내답방 가능성에 관심고조(CG)
[연합뉴스TV 제공]



연내 답방이 유력하다고 예측하는 쪽에서는 '13일 답방설', '18~20일 답방설'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계속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일부는 남북이 이미 물밑에서 김 위원장의 구체적 답방 일정에 공감대를 이뤄놓고도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발표만 미루고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하고 있다.

미리 세부 일정을 다 맞춰두고 답방 전날이나 2~3일전에 '깜짝발표'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고위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구체적인 동선이야 얘기 못 하겠지만 '온다·안 온다'는 것 자체를 어떻게 얘기 안 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만일 김 위원장의 방문 시기가 올해가 아닌 내년이 될 경우 내년 1~2월로 예고된 북미정상회담 전이 될지, 후가 될지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로서는 남북정상회담을 먼저 하고 그 이후 북미정상회담, 남북미정상회담을 차례로 하는 로드맵을 구상할 거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북미 대화를 통해 제재 문제에 진전이 이뤄질 경우 남북정상회담에서의 경제협력 등 의제가 한층 풍성해질 수 있는 만큼 '선 북미정상회담 - 후 남북정상회담'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있다.

hysup@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