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靑 "김정은 답방, 아직 北 답신 없어…담담히 기다리는 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위 관계자 '내년 초' 가능성도 재차 언급

"답방 여부 미정인데 날짜 예측 무슨 의미가 있나"

깜짝 발표 가능성엔 "그럴 수 있겠나…답방 여부 정해지면 숨길 수 없어"

CBS노컷뉴스 박성완 기자

노컷뉴스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평양사진공동취재단/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는 9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여부와 관련해 아직까지 북측으로부터 연락이 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금까지 북측으로부터 연락이 온 건 없다"며 "(김 위원장 답방과 관련) 북측에 충분한 메시지는 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답방) 시점이 언제가 되겠다는 것을 예측하거나 못 박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북측도 답방을 한다면 고려해야 할 점이 많기 떄문에 우리들은 그 부분에 대해서 담담하게 북측의 판단과 결정을 기다리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연내 뿐 아니라 내년초 답방 가능성도 열려있음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기내 간담회에서 연말·내년초 (답방) 가능성을 둘 다 열어놨는데 우리는 준비를 해놔야 한다"며 "언제가 될지 모르기에 준비를 하는 차원이지, 시점이 정해져서 거기에 맞춰 준비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이 때문에 내년초로 답방이 미뤄질 수도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다.

이 관계자는 또 일부 언론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 날짜가 보도되는 데 대해선 "전혀 아는 바가 없다"고 부인하면서 "북측에서 (서울에) 오겠다는 게 협의가 돼야 구체적인 날짜는 그 때 얘기하지 않겠느냐. (답방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 자체가 안 정해졌는데, 날짜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 방남 하루 전에 '깜짝 발표'가 이뤄질 수 있느냐는 취지의 질문엔 "그렇게 할 수가 있겠느냐"며 "우리 체계 속에서 숨기다가 갑자기 오고 이럴 수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또 "구체적인 동선이야 얘기는 못하겠지만 온다, 안 온다 자체를 어떻게 얘기 안 할 수 있겠느냐"고도 했다.

그는 김 위원장 답방 여부와 관련 관심이 청와대로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저희도 부담스럽다. 상황들을 조금 차분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