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남북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 마무리 "암초 21개 발견, 해도 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남북이 9·19 군사분야 합의서 후속 이행 조치에 따라 시작한 공동수로조사가 9일 마무리됐다. 1953년 정전협정 이후 65년 만에 처음으로 시행된 공동수로조사는 지난달 5일부터 시작해 35일간 진행됐다. 총 수로측량구간은 660㎞로, 경기 파주시 만우리에서 인천광역시 강화군 말도까지 수역이다.

경향신문

남북이 9·19 남북공동선언 군사분야합의서에 따라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공동수로조사를 하고 있다./국방부 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방부와 해양수산부는 이날 북측과의 마지막 현장 만남을 끝으로 공동수로조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남북이 지난 10월 ‘제10차 장성급군사회담’ 합의에 따라 남북 수로전문가 각 10명여명이 남측 조사선 6척에 같이 타 수로측량을 실시했고 선박이 항해할 수 있는 물길을 찾아냈다”고 설명했다. 남북 조사단은 한강하구의 선박 항행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유속과 수위 변화, 수중지형 등을 파악했다.

수로조사는 해저면으로 음파를 발사한 뒤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수심을 측량하는 방법이 사용됐다. 음파를 사용하는 ‘싱글빔 측량(횡단)’과 ‘멀티빔 측량(종단)’이 사용됐다. 싱글빔 측량은 한 번에 하나의 음파를 수신하고, 선박이 지나간 자리만 수심을 잴 수 있다. 멀티빔 측량은 한 번에 다수의 음파를 수신해 싱글빔보다 효율성이 좋다. 하지만 멀티빔 측량은 수심이 얕은 해역에서는 운용하기가 쉽지 않다.

국방부는 “선박이 가장 두려워하는 바다 속 위험물인 암초 21개를 찾아내 위치와 대략적인 크기를 확인하는 등 앞으로 선박의 안전 항해를 위해 제공될 중요한 정보도 확보했다”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또 7개 주요 해역의 조석을 관측하는 등 앞으로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해 제공될 중요한 정보를 확보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교류와 접촉이 없었던 한강하구에서 남북이 손을 잡고 ‘평화와 협력의 공간’으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물길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강하구는 정전협정상 선박운항이 가능한 중립지대지만 군은 우발적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민감수역’으로 분류해 민간선박의 항행을 제한해왔다. 한강하구는 수심이 불과 50㎝에 불과한 곳도 있어 항해를 하기 위해서는 수로조사와 준설이 필수적이다. 정부는 이번 현장조사로 확보한 수로측량·조석관측자료는 내년 1월25일까지 약 40일간 종합 분석을 거쳐 선박 항해에 쓰일 수 있는 해도(수로도)로 제작할 예정이다. 이후 국방부·해수부간 협의를 거쳐 민간선박에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서주석 국방부 차관과 김양수 해수부 차관은 이날 한강하구 현장을 찾아 남북 공동조사단장(남 윤창희 대령·북 오명철 대좌)과 악수하며 공동수로조사의 성공적인 완료를 격려했다.

서 차관은 “민간선박의 접근이 제한됐던 한강하구 수역이 개방돼 또 하나의 새로운 평화공간으로 복원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며 “한강하구내 안전한 뱃길이 개척돼 내년부터 안전하고 자유로운 민간선박 이용이 가능해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우리 군은 한강하구에 대한 완벽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면서 남북 군사당국간 협의로 민간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군사적으로 보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진 안보전문기자 longriver@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