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였던 국내 원전 수주 사업 사실상 막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김무연 기자]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전세계적으로 발전 산업이 침체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매출에서 발전 설비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70%가 넘어서는 두산중공업(034020)(BBB+)으로서는 진퇴양난에 봉착한 셈이다.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042670), 두산밥캣(241560)이 선전하는 상황이지만 본업인 발전 설비 부문의 실적 악화를 타개할 마땅한 돌파구가 없다는 게 문제다.
28회 SRE 워스트레이팅에서 두산중공업은 179명의 유효응답자 중 21명으로부터 표를 받으며 10위에 자리매김했다. 표를 던진 21명 중 19명은 두산중공업의 신용등급을 낮춰야 한다고 했다. 지난 26회에서 8위에 올랐던 두산중공업은 지난회 16위까지 밀려났다 이번에 다시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두산중공업의 부진한 실적에 시장의 관심이 높아졌다 풀이할 수 있는 대목이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말 탈원전·탈석탄 정책을 반영한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신규 원전 건설을 백지화했고 노후 원전의 수명연장 불허, 월성1호기 조기 폐쇄 등을 반영한 전력수급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신규 석탄발전소 중 공정률이 낮은 당진에코, 태안, 삼천포는 LNG 발전소로 전환하는 등 탈석탄 정책도 본격화했다. 정부의 탈원전·탈석탄 정책으로 원자력·석탄화력 발전 프로젝트의 국내 신규 발주가 제한된 상황에서 두산중공업의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하해보인다.
지속적으로 커지는 차입금도 두산중공업에 대한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두산중공업은 지난 2016년 계열사 두산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두산건설이 발행한 4000억원 규모의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인수했다. 또한 지난해 두산분당센터 신축사업을 위해 설립된 디비씨 출자사업에 참여했고(1094억원, 이 중 471억원은 부지 현물출자 방식), 두산인프라코어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 인수에 570억원을 사용하는 등 자금소요가 이어졌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기준 두산중공업의 총차입금은 5조2077억원까지 늘어났다. 부채비율은 165.2%, 차입금 의존도도 41%에 달한다.
회사는 수익성 저하와 재무부담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계열사 지분 매각에 나섰다. 두산엔진을 사업부문과 투자부문으로 분할한 뒤 사업부문 지분 전량을 822억원에 소시어스-웰투시 컨소시엄에 매각했다. 이어 남은 두산엔진 투자부문은 합병하면서 보유하게 된 두산밥캣 지분 전량을 3681억원에 처분했다. 다만 두산엔진 및 두산밥캣 지분 매각으로 일부 차입금 감축이 가능하더라도 수주 기반 약화로 재무구조 개선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 SRE 자문위원은 “정부가 강하게 탈원전 정책을 밀어붙이는 상황에서 그간 효자 노릇을 하던 원자력 발전소 수주가 막힌 두산중공업으로서는 실적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두산중공업의 장점이던 재무안정성도 낮아지는 추세인 반면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가 좋은 실적을 거둬 장기적으로 두 회사의 신용등급이 역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현재 두산인프라코어 신용등급은 ‘BBB 안정적’으로 두산중공업보다 한 단계 낮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