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임대료에 뺨맞고 온라인에 밀리고, 신촌 터줏대감의 퇴장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지원 기자]

신촌 상권의 터줏대감들이 줄줄이 퇴장하고 있다. 1995년 문을 연 신촌 그랜드마트, 1998년 개점한 맥도날드 신촌점 모두 올해 문을 닫았다. 맥도날드 자리에는 이마트의 H&B스토어 '부츠'가 들어섰다. 그랜드마트 자리에는 이마트의 '삐에로쑈핑'이 입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억 속으로 사라지는 신촌의 풍경, 그 안엔 한국경제의 냉정한 자화상自畵像이 그려져 있다. 더스쿠프(The SCOOP)가 신촌의 자화상을 살펴봤다.

더스쿠프

상권이 쇠락하면서 20여년간 자리를 지켜온 그랜드마트마저 적자 누적으로 인해 9월 영업을 중단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권이 쇠락하면서 20여년간 자리를 지켜온 그랜드마트마저 적자 누적으로 인해 9월 영업을 중단했다.[사진=연합뉴스]

신촌로터리에 위치한 그랜드마트가 지난 9월 영업을 종료했다. 그랜드마트는 1995년 완공 이후 20년 넘게 자리를 지킨 신촌의 터줏대감이다. 그랜드마트 폐점 소식을 접한 인근 주민들의 기분이 묘한 이유다. 20년 넘게 신촌에 거주한 최영숙(67)씨는 "장보러 자주 왔었는데, 몇년 새 손님이 부쩍 줄었다는 느낌이 들긴 했다"면서 "신촌 상권이 많이 쇠퇴했다는 건 알았지만 그랜드마트마저 문을 닫으니 더욱 실감하게 된다"고 말했다.

■온라인에 당하다 = 그랜드마트의 폐점은 유통업체 한곳이 문을 닫은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신촌의 하락과 맞물린 한국경제의 슬픈 자화상自畵像을 확인할 수 있어서다. 사실 신촌 상권이 하락한 건 이미 오래된 얘기다. 1990~2000년대 전성기를 구가하던 신촌은 홍대ㆍ합정으로 상권이 옮겨가면서, 구도심으로 전락했다. 최근에는 연남동과 망원동까지 젊은이들의 성지로 떠오르면서 신촌은 더욱 활력을 잃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온라인 쇼핑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신촌의 오프라인 매장들은 쇼핑센터로서 메리트를 잃었다. 그랜드마트는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그랜드마트 관계자는 "신촌점은 만성적자 매장이었다"면서 "2012년 기존 지하 2층~지상 3층 운영하던 매장 규모를 지하 2층으로 축소했지만 적자가 해소되지 않아 문을 닫게 됐다"고 설명했다.

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맥도날드 신촌점이 문을 닫은 자리에 이마트의 H&B스토어 '부츠'가 입점했다.[사진=더스쿠프 포토]

실제로 신촌 일대 상가 임대료는 2012년 2분기 3만500원(㎡당)에서 올해 3만8000원으로 24.6% 상승했다. 강남역(3만8000원), 가로수길(3만9000원) 임대료와 비슷한 수준이다. 상권은 쇠락했는데 임대료는 떨어지지 않은 셈이다. 그래서인지 신촌 거리를 걷다보면 '빈 가게'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신촌 중대형상가 공실률은 6.8%, 소규모상가 공실률은 6.9%에 이른다.

실제 공실률은 이보다도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부동산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음식점ㆍ옷가게ㆍ휴대전화 판매점들이 장사를 접고 나가, 6개월 이상 빈 상가가 수두룩하다"면서 "임대인이 월세를 20만~30만원 낮춰준다고 해도, 워낙 임대료가 비싸 들어오겠다는 이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유선종 건국대(부동산학) 교수는 "상가에 투자한 건물주가 매매가가 하락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임대료를 깎지 않고 공실로 두는 것"이라면서 "공실이 증가할수록 상권은 더욱 쇠퇴하는 악순환이 벌어진다"고 꼬집었다. 그는 "영국과 캐나다는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공실세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례로 영국은2008년부터 공실에 부동산세를 부과하고 있다. 캐나다(벤쿠버)는 주택난ㆍ주거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17년부터 6개월 이상 빈 주거시설에 공실세를 부과하고 있다.

더스쿠프

그렇다면 임대료를 낮추면 신촌 상권은 되살아날 수 있을까. 그렇지 않을 공산이 크다. 압구정 로데오의 경우, 건물주들이 상권 활성화를 위해 임대료 인하, 무無 권리금 등을 내세우고 있지만 신규 임차인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선종 교수는 "기존 업종으로는 유동인구를 끌어들이기 어렵고, 상인들이 오를 대로 오른 임대료를 감당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온라인에 뺨 맞고, 임대료에 뒤통수 맞은 신촌의 위기는 어쩌면 지금부터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저작권자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