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북미 정상 2차 핵담판은 내년 초?…폼페이오 '열흘쯤 뒤 고위급회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열흘쯤 뒤'라며 북미 간 고위급 회담 일정표를 제시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이 북미간 2차 핵 담판의 날짜와 장소를 정하기 위한 북미 고위급 채널 가동을 예고함에 따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을 위한 준비작업이 탄력을 받을지 주목됩니다.

그러나 2차 북미정상회담 시점과 관련, 같은 날 미국 고위관리 발로 '연초 개최' 가능성이 거론되는 등 시기적으로는 연내를 넘길 가능성도 적지 않아 보입니다.

멕시코를 방문 중인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의소리(VOA) 방송과 한 인터뷰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를 잡는 작업을 하고 있다며, 관련 논의를 이어가기 위해 "약 열흘 내에" 자신과 북한측 카운터파트의 고위급 회담이 '여기'에서 열리기를 매우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여기서 특히 관심을 끄는 대목은 폼페이오 장관이 북미 간 가동 채널로 자신과 북한 카운터파트가 만나는 '고위급 회담'을 적시했다는 점과 그 장소로 '여기'라고 언급했다는 점입니다.

지난 7일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당시 북미가 실무협상단 조기 가동에 합의한 이후 '스티븐 비건-최선희 라인'의 협상 일정이 정해졌다는 소식이 아직 구체적으로 전해지지 않은 가운데, 그사이 '비건-최 라인' 가동을 통한 실무 논의를 토대로 고위급 조율에 나서겠다는 건지 주목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현실화된다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직접 소통하는 '톱다운' 협상 방식에 실무 단위에서부터 점차 위로 올라가는 '바텀업' 방식이 가미되는 셈입니다.

이 경우 '다음 주 실무협상→다음다음 주인 이달 말 또는 내달 초쯤 고위급 회담'의 일정표가 짜일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 정책 특별대표는 러시아에 이어 프랑스, 벨기에 방문 일정을 이어가고 있으며, 그동안 워싱턴 외교가 안팎에서는 실무협상이 '1∼2주 이내에' 열릴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돼 왔습니다.

다만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비건-최 라인'의 실무 채널에 대해 이렇다 할 언급을 내놓지 않아 일각에선 이를 건너뛴 채 고위급 회담으로 직행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자신의 '카운터파트'가 누구인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중앙정보국(CIA) 국장 시절부터 물밑채널을 가동해온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립니다.

군 출신 강경파인 김 부위원장에 대한 워싱턴 조야의 반감이 없지 않지만 그가 폼페이오 장관의 카운터파트로서 협상을 진두지휘해 나갈 것이라는 게 대체적 관측입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폼페이오 장관이 지난달 유엔총회 기간 만난 '직제상 카운터파트'인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염두에 두고 언급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폼페이오 장관이 고위급 회담의 장소로 언급한 '여기'가 어딜 말하는 건지도 확실치는 않습니다.

인터뷰가 진행된 멕시코를 뜻했다기보다는 미국을 가리킨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폼페이오 장관이 그의 카운터파트를 워싱턴DC에서 만난다는 뜻이냐'는 기자 질문에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구체적 언급을 거부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의 '고위급 회담' 개최 언급을 두고 그의 카운터파트가 특사 자격으로 방미, 시간과 장소 등 2차 북미정상회담의 큰 윤곽을 확정하는 성격도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이 경우 북한 고위 인사의 백악관행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입니다.

앞서 지난 1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과정에서도 김영찰 부위원장이 5월 말 김정은 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방미길에 올라 뉴욕에서 폼페이오 장관과 고위급 회담을 한 뒤 6월 1일 워싱턴DC로 이동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 전례가 있습니다.

한차례 '취소 발표'됐던 북미정상회담은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들고 날아온 김영철 부위원장의 방미를 계기로 다시 살아났었습니다.

일각에서는 폼페이오 장관의 카운터파트와 함께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특사 자격으로 방미하는 '파격' 시나리오를 그리기도 합니다.

2차 북미정상회담 준비작업이 본격화되더라도 시기 자체는 순연되면서 올해를 넘길 가능성에 점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시간표와 관련, '11·6 중간선거 이후'라고 이미 못 박은 가운데 폼페이오 장관은 조만간 열릴 것이라고 말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는 이날 일부 기자들에게 "내년 1월 1일 이후가 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여기에 북한이 최근 들어 공세의 무게중심을 종전선언에서 '제재 완화'로 옮겨가며 미국 측과 기 싸움을 벌이는 가운데, 비핵화 실행조치와 상응 조치를 둘러싼 양측의 물밑 신경전도 불가피해 보입니다.

결국, 북미 간 주고받기 조율이 얼마나 빨리 이뤄지느냐에 따라 회담 개최 시기가 유동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SDF2018] 새로운 상식 - 개인이 바꾸는 세상 참가신청 바로 가기
▶[NO플라스틱챌린지] "저는 텀블러에 담아주세요!"
▶[끝까지 판다] 삼성 대규모 차명 부동산의 실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