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문케어 시행으로 현정부 35조1000억원 추가 부담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7년 추계결과 대비 현 정부 4.8조원, 차기정부 5.2조원 증가

문케어 시행으로 현 정부에서 35조1000억원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자유한국당,비례대표)은 국회예산정책처로부터 제출받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에 따른 건강보험 추가재정소요' 추계결과를 공개했다.

문재인 정보의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일명 '문케어'의 핵심은 국민건강보험 보장률을 7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이다.

김승희 의원실의 의뢰로 국회예산정책처가 보장률 70% 달성 및 유지를 위해 소요되는 추가재정의 규모를 추계한 결과, 문재인 정부 임기기간인 2018년부터 2022년까지 35조1000억원이 추가로 소요되고, 차기정부 임기기간에는 57조7000억원이 추가로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가 무리한 사업추진으로 차기정부에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는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국회예산정책처 추계자료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임기기간인 2022년까지 국민건강보험 보장률 70% 달성을 위해 5년간 총 385조8000억원이 소요되며, 문케어가 시행되지 않았을 경우(350조7000억원)보다 35조1000억원이 추가로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차기정부 임기기간인 2023년부터 2027년까지는 보장률 70% 유지를 위해 5년간 총 557조6000억원이 소요되며, 이는 문케어가 시행되지 않았을 경우에 소요되는 499조9000억원보다 57조7000억원 많은 규모였다.

국회예산정책처는 2017년 9월 2018년-2022년 추가재정소요 규모를 30조3000억원, 2023년~2027년 추가재정소요 규모를 52조5000억원으로 추계한 바 있다. 이번 추계에서 현 정부와 차기정부가 추가로 부담해야 되는 재정규모도 각각 4조8000억원, 5조2000억원 증가한 것이다.

김승희 의원은 "올해 추계는 지난해 추계보다도 현 정부 추가 부담의 경우 4조8000억원, 차기 정부 추가 부담은 5조2000억원이나 더 늘었다"며 "문재인 정부가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면서 차기정부에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번 국민건강보험 추가재정소요를 추계함에 있어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1인당 의료비 증가율 및 해당연도 인구 증가율을 고려한 비율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이전의 보장률이 유지되는 경우(기준선)의 보장률은 2016년 보장률인 62.6%를 적용하고, ▴국가재정으로 운영하는 의료급여는 분석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쿠키뉴스 조민규 kioo@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