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日언론 "김정은, 核리스트 제출하라는 폼페이오 요구 거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종전선언·경제제재 완화 등 美신뢰 먼저 보여줘야"

이데일리

I△2018년 4월 26일 북한 평양을 방문한 마이크 폼페이오(왼쪽) 미국 국무장관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미국 정부 촬영·AFP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7일 있었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와의 회담에서 핵리스트 신고를 거부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15일 “김 위원장이 종전선언과 경제제재 해제를 요구”했다며 “북미가 주요한 쟁점을 놓고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고 밝혔다.

요미우리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핵 리스트의 일부라도 넘겨주길 바란다”는 폼페이오 장관의 요구에 대해 “신뢰관계가 구축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리스트를 넘겨준다고 해도 미국정부가 신뢰할 수 없다고 할 것”이라며 “재신고를 요구할 텐데 이는 분쟁으로 이어질 것이다”라고 거부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비핵화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북미간 신뢰 구축이 우선 필요하다”며 “종전선언을 통해 북미간 신뢰가 구축되면 비핵화는 미국이 걱정하지 않아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북한은 한국전쟁 참전 미군의 유해 반환 등 성의 있는 조치를 취했다며 미국도 거기에 응하기 위해 경제제재를 해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이 9·19 남북 평양 공동선언에서 밝힌 영변 핵시설 폐기만으로는 종전선언에는 응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생화학 무기를 포함한 모든 대량파괴무기 계획 제거도 요구하고 보유 핵탄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이동식 발사대를 일부라도 폐기 또는 국외 반출하면 “종전선언 등 북한이 납득할 행동을 취할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영변 핵시설은 폐기 전에 핵 활동 기록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 전문가와 국제원자력기구(IAEA) 요원에 의한 조사도 요구했다.

김 위원장은 영변에 대한 사찰 수용은 실무자 협의에서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실무자 협의는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담당하며, 조만간 IAEA 본부가 있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릴 것으로 신문은 내다봤다.

다만 실무자 협의도 난항이 예상된다고 요미우리는 전망했다.

신문은 “도널드 트럼프 정권이 2차 북미정상회담이 11월 6일 미국 중간선거 이후 열릴 것이라는 생각을 나타낸 것도 실무자 협의가 난항할 것을 예상하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확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