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문 대통령 “김정은 위원장, 핵 대신 경제발전 의지 강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프랑스 국빈 방문 앞서 ‘르 피가로’ 인터뷰

“남북·북-미회담 통한 비핵화 약속 과거와 달라

북한, 이 합의 어길 경우 보복 감당할 수 없어

2차 북-미 정상회담서 큰폭의 구체 합의 기대”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를 국빈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김정은 위원장이 북한 체제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만 있다면 기꺼이 핵을 내려놓고 경제발전에 전력을 쏟겠다는 의지가 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강한 신뢰를 표시한 것으로 15일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프랑스 방문에 앞서 프랑스 일간지 <르 피가로>와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히면서 “김 위원장이 북한 체제의 안전을 보장받는 대신 핵을 포기하겠다는 전략적 결단을 내린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언론이 인터뷰에서 ‘북한은 과거에도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지적하자, 문 대통령은 △핵 대신 경제를 택한 정책전 전환 △남북·북-미 정상회담을 통한 비핵화 약속 △풍계리 핵 실험장 폐기 등 비핵화 조치 실천 △북한 내부에서도 비핵화 공식화 등이 과거와 달라 이번에는 신뢰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북한이 비핵화 합의를 어길 경우 미국과 국제 사회로부터 받게될 보복을 감당할 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다음달로 점쳐지는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1차 회담의 선언적 합의를 뛰어넘어 큰 폭의 구체적 합의를 이루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 비핵화 조처와 미국의 상응조처 등에 대해 “북미 양국이 직접 협의해 합의할 문제”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종전선언과 함께 “미국의 인도적 지원, 북-미간 사회·문화적 교류 등도 상정가능하며 향후 비핵화 진전에 따라 북-미 연락사무소 개소 및 대북제재 완화 등도 협의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북한 인권과 남북협력의 상관관계를 묻는 질문에는 “남북, 북미 정상회담 등을 계기로 한 북한과의 교류·협력 강화가 북한 주민의 실질적 인권 개선에 실효성 있는 방법이 될 것”이라며 “유엔의 북한인권보고서는 최근 한반도 긴장완화가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평가했고 나도 그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오늘의 추천 뉴스]
[▶ 블록체인 미디어 : 코인데스크] [신문구독]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