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태봉국 철원성 조사 대상지는 성벽 아닌 역사도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태봉학회 학술대회…"남북 조사단 꾸려 오래 발굴해야"

연합뉴스


일제강점기 태봉국 철원성. [국사편찬위원회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서 관심이 커진 태봉국 철원성은 조사 대상지가 성벽이 아닌 역사도시이므로 남북이 치밀한 계획을 수립해 장기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재 국방문화재연구원장은 12일 태봉학회가 철원군청에서 개최한 '남북공동의 문화유산-DMZ 태봉 철원도성' 학술대회에서 "중국 장안성이나 발해 동경성 조사에서 교훈을 얻어 10세기에 계획적으로 건립된 역사도시를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휴전선이 가른 태봉국 철원성은 궁예(?∼918)가 강원도 철원에 수도를 정한 905년부터 918년까지 사용한 도성이다. 궁예가 개성에서 철원으로 도성을 옮길 당시 국호는 마진(摩震)이었으나, 태봉(泰封·911∼918) 시기에 준공됐을 가능성이 크다.

일제강점기 지도와 한국전쟁 당시 찍은 항공사진을 분석하면 도성 형태는 사각형이고, 외성과 내성 길이는 각각 12.5㎞와 7.7㎞로 추정된다.

이 원장은 "내성 안에 축조된 역사적인 신도읍 구조를 조사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거듭 강조하며 "신도읍 중심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내성 성벽선 확인이 선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태봉국 신도읍이 한국전쟁 최고 격전장이었던 철의 삼각지 중 하나인 만큼 조사를 빨리 진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본격적인 조사에 앞서 드론을 이용한 도성터 촬영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태봉국 철원성은 북측에 궁궐터와 사찰터가 존재하고, 남측에는 문터와 '궁예시대 석탑'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장은 "북은 북측 유적, 남은 남측 유적을 따로 조사해서는 안 되고, 항상 하나의 조사단으로 같이 활동해야 한다"며 "남북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발굴추진중심기구를 꾸려 조사 과정과 방법을 협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발굴계획 수립에는 발굴 전문가, 군 전문가, 재정 전문가, 정부 관계자, 자문 인력이 다양하게 참여해야 한다"며 "기본적으로 5년을 조사단위로 정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학술대회에서는 조인성 경희대 교수, 하일식 연세대 교수, 박상준 불교문화재연구소 실장도 철원성 연구 과제와 남북 문화재 교류에 대해 발표했다.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