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가짜 유공자 고발" VS "흠집 내기" 진실공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부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가 가짜 유공자를 고발하고 나선 가운데 전 집행부에 대한 흠집 내기라는 주장이 맞서면서 진실공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5·18 구속부상자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1일 광주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부 가짜 유공자들이 숭고한 5·18 정신을 훼손하고 있다"며 "자성하며 스스로 환부를 오려 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비대위는 "1990년 9월 당시 5·18구속자회 회장 A씨가 친동생 B씨를 유공자로 만들기 위해 가짜 서류를 작성했고 C씨에게 인우보증을 부탁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비대위는 "C씨는 B씨를 만난 적도 없지만 1980년 5월 20일 한일은행 옆에서 B씨가 계엄군에게 구타당해 병원에서 응급 치료를 받았다는 거짓 보증을 섰고 B씨는 유공자로 인정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

비대위는 A씨 형제를 광주민주화운동 보상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으며 구속부상자회 전·현직 집행부 3명도 업무상 횡령 등의 혐의로 고발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구속부상자회 관계자는 가짜 유공자로 지목된 B씨가 앞서 2009년에도 고발당해 수사를 받았으나 무혐의를 받았다고 반박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B씨가 무기 소지 등 혐의로 부산까지 달아났다가 붙잡혔으며 그를 체포했던 경찰관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확인해보면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며 "구속부상자회 내부 갈등이 5·18 정신 훼손으로 이어져선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SDF2018] 새로운 상식 - 개인이 바꾸는 세상 참가신청 바로 가기
▶[보이스V] 당신을 위한 비디오 콘텐츠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