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한국·태국 금리인상 유발 요인은 연준 아니라 가계부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한국과 태국 등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막대한 아시아 신흥국들이 곧 긴축적 통화정책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원인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보다 불어나는 가계부채에 있다.

지금까지 한국과 태국은 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 시장 위기에 면역을 갖춘 것으로 간주됐다. 경상수지 흑자가 막대해 인도나 인도네시아 등 경상적자 국가들에 비해 자본유출 압력이 미미했다.

하지만 수년 간 이어온 수용적 통화정책의 폐해로 가계부채가 급증하자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압력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태국은 가계부채가 수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증가해, 은행 시스템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금리 인상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태국 중앙은행은 지난 19일(현지시간) 금리를 동결했지만, 현행 수용적 통화정책을 점진적으로 축소할 필요가 있다고 밝혀 수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신호를 보냈다.

한국은행은 치솟는 주택가격을 잡기 위해 금리인상에 나서라는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 주택가격 급등으로 가계 부채가 급증하고 가처분 소득은 감소했다.

상당수 애널리스트들은 지난 8월 금리를 동결한 한국은행이 연준을 따라 연내 한 차례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긴축 속도가 차츰 빨라짐에 따라 한국과 태국도 예상보다 빠른 12월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악사인베스트먼트의 아시아 신흥국 담당 선임 이코노미스트인 아이단 야오는 “현재로서는 상당수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연준을 따라 금리인상에 나서야 하는 입장이며, 국내 문제보다 연준의 행보가 더욱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인도나 인도네시아, 필리핀 통화가 두 자릿수로 추락하는 동안 한국 원화는 4% 내리는 데 그쳐, 이들 신흥국보다는 금리인상 압력이 미온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한국과 태국에서는 연준의 금리인상이나 무역전쟁 우려 등 대외적 요인이 통화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의미다. 이보다는 국내 요인들이 통화정책의 향방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이윤청 기자 = 추석 명절을 일주일여 앞둔 19일 오전 서울 한국은행 본부 지하금고에서 관계자들이 시중은행에 공급할 추석 자금을 방출하고 있다. 2018.09.1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ong@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