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벤처창업학회, ‘온라인 스몰비즈니스 활성화의 가치’ 세미나 개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플래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벤처창업학회는 최근 오픈한 네이버 파트너스퀘어 광주에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스몰비즈니스 활성화의 가치’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네이버 파트너스퀘어를 통한 창작자와 소상공인의 성장 지원 활동에 대한 네이버 추영민 리더의 소개에 이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서울대학교 유병준 교수의 발표, 그리고 검색광고 경매 방식을 비교한 김지영 교수의 발표가 진행됐다.

네이버 추영민 리더는 스몰비즈니스와 창작자를 대상으로 창업과 사업 성장을 지원하는 네이버 ‘프로젝트 꽃’의 오프라인 성장 거점인 파트너스퀘어에 대해 소개했다. 추영민 리더는 “네이버는 다양한 스몰비즈니스와 크리에이터가 성장해야 더 좋은 플랫폼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숙명으로 하고 있다”며, 사업자와 창작자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소개했다.

그간 파트너스퀘어는 온라인 커머스에 필요한 교육뿐 아니라, 스튜디오를 연계한 교육을 비롯해 창작자와 사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이날 발표에 대해 전남대 융합인재교육원 원장을 맡고 있는 고준 교수는 “네이버 파트너스퀘어에서 창작자-사업자-이용자의 시너지를 통해 광주의 지역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지역경제와 문화를 모두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대 유병준 교수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지난 4년간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의 창업 성장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유병준 교수는 “온라인 쇼핑은 거래액이 국내 GDP의 8%를 차지하고,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도 높은 시장”이라며, “그 중에서도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는 30대 이하 신규창업자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젊은 소상공인의 장으로서, 창업자들이 적은 자본으로 다양한 기회를 얻는 데 공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네이버 쇼핑 판매자의 이윤을 추계 소득, 절감비용, 간접 홍보로 구분해 추정하면 총 1조 1810억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스마트스토어 판매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절반 이상의 판매자들이 G마켓 등의 오픈마켓, 소셜 커머스, SNS 등 타 쇼핑플랫폼을 활발하게 활용하는 멀티호밍 현상이 확인되었다”며, “스마트스토어에서 온라인 사업을 시작한 판매자들이 발전해서 다른 플랫폼으로까지 진출하는 만큼, 스마트스토어가 기존 시장을 뺏어 오는 것이 아니라 시장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성균관대 김지영 교수는 ‘검색광고 경매 방식별 광고주 성과 비교 분석’에 대해 발표했다.

김지영 교수는 “온라인상 정보의 비대칭성과 불완전성이 클 때, 경매를 이용하면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 균형점을 잡을 수 있어, 다양한 검색광고 플랫폼이 도입하고 있다”면서, “광고주들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광고 집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특히, 김 교수는 “CPC(Cost Per Click) 경매 방식에는 (1)최고가격 낙찰, (2)차등가격 낙찰, (3)품질지수를 고려한 차등가격 낙찰 방식이 있는데, 품질지수를 고려한 차등가격 낙찰 방식이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이라며, “이번 연구에서는 위의 세 가지 방식에 대한 매출에서 광고비를 뺀 수익을 분석해봤는데, 그 결과 네이버, 구글 등이 사용하고 있는 품질지수를 고려한 차등가격 낙찰 방식이 광고주들에게 가장 높은 수익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행 방식을 쓰면 시간이 지날수록 품질이 우수한 광고주들이 어드밴티지가 생기는 방식”이라며, “결국 상대적으로 예산이 작은 규모의 소상공인 광고주라도 품질이 우수하면 상위에 노출이 잘돼, 수입 대비 광고비가 낮아져서 총 수익은 높아지는 선순환 구조가 나타났다”고 말했다.

글: Platum(editor@platum.kr)

ⓒ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 중화권 전문 네트워크' 플래텀, 조건부 전재 및 재배포 허용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