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낙연 총리, 광복절 맞아 무연고 독립유공자 묘소 참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양영권 기자]
머니투데이

이낙연 국무총리가 15일 광복절을 맞아 대전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현충탑에서 순국선열에게 참배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15일 제73주년 광복절을 맞아 대전 유성구에 있는 국립대전현충원 무연고 독립유공자 묘소를 참배했다.

무연고 묘소는 배우자, 직계존비속, 형제‧자매가 없는 안장자의 묘소다. 국립대전현충원에 있는 독립유공자 묘소 3464기 중 140기가 무연고 묘소다.

이 총리는 지난 6월 8일 제2차 국가보훈위원회에서 무연고 국가유공자 묘소는 국가가 책임지고 관리할 것을 지시하기도 했다.

정부는 지난 6월 마련된 ‘국가보훈발전기본계획’에 무연고 묘지 관리 강화 방안을 포함했다. 매년 국립묘지 내 무연고 묘소에 대해 실태조사를 벌이고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국립묘지 체험 프로그램을 짜는 등 관리와 선양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총리는 이어 애국지사 묘역을 찾아 권율정 대전현충원장으로부터 고(故) 지용기 지사, 고(故) 홍언 지사, 고(故) 반하경 지사의 독립활동에 대해 보고받고 묘소를 차례로 참배했다.

지용기 지사는 강원 양양 출생으로 1907년 이언용, 이완채 등과 함께 의병을 모집해 의병장을 지냈다. 강원‧충북‧경북 등지에서 일본 헌병대 및 수비대와 싸워 큰 공적을 세웠다.

홍언 지사는서울 출생으로 미주 신한민보의 주필을 지냈다. 1913년에는 안창호 선생과 함께 흥사단 창립에 참여했다. 이후 미주지역에서 임시정부 공채를 판매하는 등 독립운동자금을 모금하는데 기여했다.

반하경 지사는 경기 파주 출생으로 고종 때 내시로 관직을 지내다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관직에서 사임했다. 1910년 한일합병조약에 체결되자 비분하여 유서를 남기고 대로(大路)에서 자결했다.

이 총리는 "많은 사람들이 이분들의 묘소를 찾아 나라를 위한 헌신을 기억하고 감사드리도록 하는 것이 정부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1교 1묘역 봉사결연 프로그램’으로 국립대전현충원에서 봉사를 해온 대전 이문고 2학년 손은지 학생을 격려했다. 1교 1묘역 자매결연은 각급 학교 1개가 1개 묘역 정화 봉사활동을 벌이는 프로그램이다.

세종=양영권 기자 indepe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