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文대통령, 오늘 광복절 경축사…'한반도 평화' 촉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복 73주년·정부수립 70주년 의미 아우를 듯

종전선언·한반도 평화체제·남북경협 등 담길 듯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인 1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청와대) 2017.8.15/뉴스1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내달 평양에서의 3차 남북정상회담을 코앞에 둔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제73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어떠한 메시지를 내놓을 지 관심이다. 통상 대통령의 광복절 대북 메시지는 향후 대북정책의 가늠자 역할을 해왔다.

문 대통령은 북미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됐던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한반도에서의 전쟁 불가'를 선포하는 한편, 북한을 향해 대화를 촉구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이날 경축사에는 지난해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내용이 담길 것이라는 관측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12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남북고위급회담에서 3차 남북정상회담과 관련된 합의가 이뤄진다면 이번 경축사에 그 내용 또한 담길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문 대통령이 당장 내달 평양에서 열리는 3차 남북정상회담의 의미 등을 직접 언급할 것으로 풀이된다. 또 정상회담 핵심 의제로 다뤄질 종전선언이 경축사에 담길 가능성이 크다는 해석이다. 실제 문 대통령은 해외순방 계기 현지 언론 인터뷰 등 여러 계기에 연내 종전선언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해왔다.

남북관계의 발전에 따른 남북경제협력(경협)과 대북 인도적 지원 등이 언급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단 경협의 필요성은 강조하되, 북한에 미국이 주도하는 '대북제재의 틀'에서 벗어나기 위한 북핵해결 노력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미국에도 북한의 노력을 감안한 제재완화를 에둘러 언급할 가능성이 전망된다.

대북 메시지 뿐 아니라 대일 메시지도 발신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전날(14일)에도 독립유공자와 유족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하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첫 정부 기념식에도 현직 대통령으로서 직접 참석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정부 기념식에서 "이 문제가 한일 간의 외교분쟁으로 이어지지 않길 바란다. 양국 간의 외교적 해법으로 해결될 문제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이에 이날 경축사에서도 이같은 '투트랙 외교론'을 견지할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밖에도 광복절 경축사에는 광복 73주년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70주년의 의미를 모두 담길 것이라는 청와대 관계자의 전언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 이어 전날 초청 오찬에서도 1919년 임시정부 수립일을 건국일로 봐야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편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뉴스1에 "(경축사를)완전히 다시 쓴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를 사흘간 손수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flyhighro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