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기무사 간부 26명 2차 원대복귀… 인적청산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장성 2명 포함… 댓글 공작ㆍ세월호 사찰 연루자 등

한국일보

8일 경기 과천 기무사령부 입구. 서재훈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군기무사령사 간부 26명이 13일 육ㆍ해ㆍ공군 등 본래 소속 부대로 원대 복귀됐다. 기무사 해편(解編)을 위한 인적 청산 작업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국방부는 “이종해 해군본부 기무부대장(준장) 등 기무사 간부 26명을 오늘(13일) 부로 각 군으로 원대복귀 조치했다”고 밝혔다. 이들 중 10명은 댓글 공작 사건에 연루됐으며, 세월호 민간인 사찰 관련자 4명, 계엄령 문건 작성 관련자 12명 등 모두 기무사 3대 비위 사건에 직ㆍ간접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기무사 간부의 원대 복귀는 계엄령 문건 작성 태스크포스(TF) 책임자였던 소강원 참모장(육군 소장)과 계엄령 문건에 딸린 ‘대비계획 세부자료’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기우진 5처장(육군 준장)이 지난 9일 육군으로 돌아간 데 이어 이번이 2차 원대복귀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장성 4명을 포함해 총 28명의 기무사 간부가 본래 소속 군으로 돌아갔다.

군 당국은 폐지되는 기무사를 대신해 내달 1일 창설되는 군사안보지원사령부(안보지원사)의 인원을 약 2,900명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현재 기무사 전체 인원 4,200명 가운데 기무사의 각종 비위 사건에 연루돼 원대복귀 조치가 내려질 1,300명을 제외한 숫자다. 안보지원사 창설 준비단은 오는 14일 국무회의에서 국방부가 새로 제정한 안보지원사령(대통령령)이 의결되면 원대복귀 인원과 안보지원사로 재편입시킬 인원을 선별하는 작업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3대 비위 사건 관련자 중 댓글공작에 연루된 인원이 수백 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세월호 유족 사찰 연루자가 60여명이며 계엄 검토 문건 TF에는 소 참모장 등 16명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영빈 기자 peoplepeopl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