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6 (목)

입국장 면세점 도입에 대기업은 '우려'-중견은 '기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입국장 면세점 도입의 필요" 거론

대기업 면세점 "매출 나눠먹기 우려...면세한도 상향해야"

중견기업 면세점 "새 기회 올까" 기대

뉴시스

【인천공항=뉴시스】이영환 기자 =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T1)에 입점돼 있는 중소면세점 사업자들이 임대료 조정을 요구하고 있는 20일 오후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T1) 면세점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에스엠면세점·엔타스듀티프리·삼익면세점·시티면세점은 대기업과 똑같은 임대료 인하안을 적용받는 것은 중소기업의 생존 문제라며 항공사 재배치로 인한 여객동 인하율 37.5%와 항공사별 객단가를 근거로 재검토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고 인천공항공사측은 사업자들이 제시한 여객동 인하율과 객단가율은 근거가 부족한 일방적인 수치라고 반박을 하고 있다. 2018.03.20.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표주연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입국장 면세점 도입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면세업계가 기대와 우려를 보내고 있다.

문 대통령은 13일 "우리는 해외여행 3000만명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고, 지난 한 해 이미 2600만명을 넘었다"면서 "그런데 입국장 면세점이 없기 때문에 시내나 공항면세점에서 구입한 상품을 여행 기간 내내 휴대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며 입국장 면세점 도입의 필요성을 거론했다.

이어 "우리의 관광 수지 적자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우리 국민들의 국내 소비 증가보다 해외 소비 증가율이 몇배 높은 실정"이라며 "따라서 입국장 면세점의 도입은 해외여행 국민들의 불편을 덜어주면서 해외 소비의 일부를 국내 소비로 전환하고, 아울러 외국인들의 국내 신규 소비를 창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와 왕래가 많은 일본과 중국에서도 이미 도입했고, 확대하는 추세"라며 "관계 부처는 입국장의 혼잡 등 예상되는 부작용의 보완 방안까지 포함해서 입국장 면세점 도입방안을 검토해주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이어 "특히 중견 중소기업들에 혜택이 많이 돌아갈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함께 검토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입국장 면세점이 도입되면 국내 여행객 상당수의 소비패턴이 바뀔 것으로 보인다. 이전까지는 출국할 때 면세쇼핑을 하고, 제품을 여행 내내 가지고 다녀야했지만 입국장 면세점이 생기면 그럴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면세업계는 입국장 면세점 도입에 큰 틀에서는 찬성한다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임대료 문제 등을 놓고 우려를 숨기지 않고 있다. 특히 롯데, 신라, 신세계면세점 등 대기업 면세점은 기존 출국장 면세점 매출이 줄어들면서 임대료 부담이 늘 수 있다는 우려를 보이고 있다.

특히 면세 업계에서는 출국장과 입국장 면세점이 서로 매출을 나눠먹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현재 600달러인 면세 한도도 함께 상향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오는 상황이다.

한 대기업 면세점 관계자는 "큰 틀에서는 찬성한다"며 "면세업을 규제하는 산업으로 보던 관점에서 육성하려는 산업으로 봤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기존 출국장 면세점의 매출은 떨어질 텐데 임대료가 더 부담스러워지는 점은 걱정"이라고 전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공항 면세점의 파이를 (입국장과 출국장이)나눠먹는 결과를 가지고 올 것"이라며 "현재 면세 한도를 더 늘려줘야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반면 중소·중견 면세업체들은 반색하고 있다 문 대통령이 '중견 중소기업들에 혜택이 많이 돌아갈 수 있게 방안을 마련하라'고 분명하게 언급한 만큼 새 사업의 활로가 생길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중견 면세점 관계자는 "입국장 면세점을 만들고, 이를 중소·중견 면세업체 중심으로 운영하라는게 정부 정책으로 읽힌다"며 "그렇다면 우리 입장에서는 더 많은 기회가 생길 수 있어 기대가 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pyo000@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