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밀착카메라] 입수통제에도 뛰어드는 사람들 '위험한 피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동해안 지역에 너울성 파도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당연히 해수욕장은 시민들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통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은 곳도 있습니다. 안전요원이나 구조장비도 없습니다.

황당한 해수욕장 관리 실태를 밀착카메라 김도훈 기자가 점검했습니다.



[기자]

큰 파도가 해안가로 출렁입니다.

바다 위에도 세찬 파도들이 휘몰아칩니다.

높고 거센 파도가 치고 있는 이곳은 동해안의 한 해수욕장입니다.

해경이 지난 월요일부터 오늘 밤 자정까지 동해안 전역에 너울성 파도 주의보를 내리면서 지금은 전면 통제된 상황인데요.

혹시 모를 인명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 이렇게 해수욕장 한 켠에는 수상안전요원 부스와 함께 구명함과 구명조끼등 각종 인명 구조용품도 구비 돼 있습니다.

현장 안전요원들은 무릎까지만 물에 들어갈 수 있게 합니다.

[해경 관계자 : 지금 기상청에서 너울성 파도 주의보를 내렸어요. 위험하거든요. 파도가 크다 보니까 휩쓸릴 가능성이 많아서.]

하지만 비슷한 시각 인근 다른 해수욕장에서는 높은 파도에도 피서객들이 여전히 물놀이를 즐기고 있습니다.

안전요원은 찾아볼 수 없고 구명환 등 구조장비도 없습니다.

해변으로 밀려오는 너울성 파도는 예측이 어렵습니다.

최근 2년 동안 동해에서 너울성 파도로 10명 가까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모래사장에서 바닷가 쪽으로 약 30m 정도 안으로 들어와 봤는데요.

얼핏 보기에도 수심이 상당히 깊어보입니다.

그런데 더 먼 바다를 봐도 수심을 알리는 경고판이나 물놀이 경계구역을 알리는 안전 부표를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이곳이 안전관리 업무 주체가 없는 비지정 해수욕장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피서객들은 이 곳이 정식 해수욕장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피서객 : (포털 사이트) 지도에는 00해수욕장이라고 뜨더라고요. 사람들 사이에선 해수욕장이라고 불려지는 거야.]

2014년 12월부터 법이 바뀌면서 해수욕장 안전관리 업무는 해당 지자체가 담당합니다.

하지만 해변의 규모와 길이, 이용객 등에 따라 일정 규모 이하는 지정 관리대상 해수욕장에서 제외됩니다.

[관할 지자체 관계자 : 해수욕장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규모가 조성돼야 해수욕장으로 지정을 할 수 있죠. 지정 안 된 곳은 사실 관리 의무가 없는 거예요. 국비 지원 예산은 한 푼도 없어요.]

문제는 매년 7~8월이 되면 관리대상이 아닌 해변까지 피서객들이 몰리면서 안전사고 우려가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실제 관리주체가 없는 해수욕장만 전국 360여 곳 중 80여 곳으로 전체 20%가 넘습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 : 저희도 예산 반영이나 지자체 안전관리 예산 지원되도록 하고는 있는데 기재부에선 '지역사업이니까 알아서 할 일이다' 라는 입장이 강하고요.]

안전요원이 없는 곳은 해경이 따로 해안가 순찰을 돌며 피서객들에게 주의를 주는 것이 전부입니다.

[멀리 가지 마시고요. 앞에 좀 계십시오.]

안전사고가 발생해도 현장에서 대처가 어려워 구조에 더 많은 시간이 들 수 밖에 없습니다.

[해경 관계자 : 모든 해변이라고 다 해수욕을 즐길 수 있는 그런 해변이 아니라. 사고라든지 많이 취약한 부분이라서…]

매년 휴가철이면 전국 해수욕장을 찾는 물놀이 인파는 수백 만 명에 이릅니다.

피서객들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 더 큰 피해가 생기기 전에 지금이라도 마련해야 되지 않을까요.

(인턴기자 : 이수형)

김도훈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