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대입개편 시민참여단 토론서 '학종 부작용 해소방안' 집중 질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시 확대·수능 절대평가 문제점도 지적…8월 3일 공론화 결과 발표

연합뉴스

대입제도 개편 시민참여단 숙의 토론회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2022학년도 대학 입시제도 개편을 위한 토론회에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부작용을 줄일 방안을 둘러싼 시민참여단의 질문들이 쏟아졌다.

국가교육회의 대입개편 공론화위원회는 28일 충남 천안에서 시민참여단 500여명이 참여하는 2차 토론회를 열었다.

2박3일 일정 가운데 둘째 날인 이날 토론회에서는 대입개편 방향을 결정할 시민참여단이 기존에 제시된 개편 시나리오 4가지에 대해 다양한 질문을 쏟아냈다.

그간 공정성·신뢰성 논란이 있었던 학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질문이 많았다.

한 참석자는 "학종의 폐단을 어떻게 고칠 것이냐"고 물었고, 다른 참석자는 "통일되지 않는 학생부 기준과 교사별 편차, 학생들의 정보격차 등의 문제를 어떻게 완화할 것이냐"고 질문했다.

절대평가 확대 방안(시나리오2)을 제안한 박재원 아름다운배움 연구소장은 "교사별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이 때문에 학종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는 건 우리 교육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라며 "정보격차는 교육청과 학교가 노력해 부모의 경제력과 정보력이 작용하지 않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수능 확대와 학생부교과-종합전형간 균형(시나리오4)을 제안한 이 현 우리교육연구소장은 "(학종의 경우) 학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 등 주관적인 서류를 입학사정관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학이 학종전형을 할 때) 내신을 몇%나 반영하는지, 입학사정관 간의 의견차를 어떻게 보정하는지 등 '기준'을 밝히는 게 학종을 투명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이처럼 학종의 폐단이 많은데 왜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 전형 비중이 줄고 학종 비중이 늘어나는지 물었다.

대학에 자율적으로 맡기는 개편안(시나리오3)을 제안한 안성진 성균관대 입학처장은 "대학에서는 고교 교육에 충실한 학생을 뽑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데 공부만 하기보다는 체험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협업 능력 등을 기른 학생들이 들오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학생부)교과 준비를 못한 학생들이 불리할 수 있으므로 수시에서 안 된(합격하지 못한) 아이들은 정시에서 기회를 줘야 한다"며 "그러려면 (전형별) 적절한 비중이 현재 정도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각 시나리오 제안자 앞으로 제시된 공통 질문 역시 학종의 공정성 확보 방안이었다.

수능 전형을 45% 이상으로 확대하는 안(시나리오1)을 제시한 안선회 중부대 교수는 "부유층을 위한 학종이 아니라 소외계층을 위한 학종이어야 한다"며 학종을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전형으로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에서는 수능전형을 확대할 경우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지적과, 수능을 절대평가화할 경우 변별력을 강화할 뚜렷한 방안이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공론화위는 이달 중순 진행된 1차 토론회와 이번 2차 토론회에서 세 차례에 걸쳐 시민참여단 의견을 조사한다. 4개 대입개편 시나리오에 시민참여단이 각각 점수를 매기도록 하는 방식이다.

공론화위는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시나리오가 무엇인지, 지지도 차이가 오차 범위에 있는 경우 시민참여단 의견 가운데 어떤 부분이 정책적으로 참고할만한 부분인지 정리해 8월 3일 발표한다.

교육부는 종합적인 대입제도 개편안을 8월 말 발표할 예정이지만 주요 쟁점의 경우 사실상 시민참여단의 의견조사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cind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