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밀착카메라] 빗물 새고 악취 진동…장마철이 괴로운 쪽방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흘 동안 이어진 폭우로 곳곳에 침수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만 오면 침수 뿐만 아니라 악취와 습기, 안전 사고로 특히 불안해 하는 곳이 있습니다.

수도권 쪽방촌 주민들을 밀착카메라 손광균 기자가 만났습니다.



[기자]

휴일 아침부터 배수구 주변을 정리하는 손길이 바쁘게 움직입니다.

어제(1일) 서울 전역에 시간당 20mm 안팎의 비가 내린 가운데, 이곳은 오후까지 100mm가 넘게 쏟아졌습니다.

[물이 다른 데로 많이 나가게 되면 밑으로 못 빠지니까. 또 나오고 또 나오고 그러면 침수가 될 수 있지.]

슬레이트나 기왓장으로 된 지붕은 뜯어졌고, 벽은 갈라졌습니다.

빈 방 안으로 들어가 봤더니 위쪽은 이미 축축하게 젖었습니다.

제가 서 있는 이 공간은 어른 2명만 누우면 가득 찰 정도로 좁은데요.

그나마 이 방이 큰 방이고, 이 안쪽에는 훨씬 더 작은 방이 있습니다.

벽에는 곰팡이가 피었고, 천장은 뜯기기 시작했습니다.

바깥으로 나가면 상황은 더 좋지 않은데요. 슬레이트 지붕을 사용했는데 오래돼서 군데군데 구멍이 뚫렸습니다.

그래서 빗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이렇게 두꺼운 방수소재의 비닐을 사용했습니다.

[임순규/서울 노원구 중계동 : 집 무너질까 봐 걱정이지. 밤에 잘 때 방 가운데에 머리를 안 두고 문 앞으로 두잖아. 혹시 무너지면 빨리 뛰어나와야 하니까. 그렇게 살아요.]

+++

서울시가 관리 중인 종로구 돈의동의 한 쪽방촌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비좁은 골목에 흡연과 노상방뇨를 금지하는 경고가 곳곳에 붙어있습니다.

축구장 절반만 한 공간에 다닥다닥 들어선 쪽방만 700여 개.

18년째 살고 있는 한 주민을 따라 가봤습니다.

머리를 숙이고 한 명씩만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3층까지 이어집니다.

두 사람이 들어서자 방안이 꽉 찹니다.

장마철 주민들이 더 힘들어하는 건 악취와 습기입니다.

[박동기/서울 종로구 돈의동 : (밖으로) 나오지 못하니까. 지팡이 짚고 다니는 사람들이 비가 많이 오니까. 냄새가, 악취가 엄청나고 막 소변도 이런 데다 봐서.]

+++

서울시에 있는 또 다른 쪽방촌입니다.

이곳 주민들은 무분별하게 버려진 쓰레기 때문에 악취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종량제 봉투도 사용하지 않고 무단으로 버려진 쓰레기들이 대부분입니다.

[바퀴벌레도 많고 그래요 여기.]

천정마다 복잡하게 엉킨 전기 배선 등 장마를 앞두고 안전 사고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층마다 주인이 달라 수리를 요구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여기 층마다 다 달라요. 좌측 우측이 주인이 다 따로따로 있어요. (빗물이) 샌다고 얘기하면 집주인이 해줘야 되는데. 그런 걸 안 해주고 그래요.]

+++

수도권에 있는 쪽방촌 주민들도 불안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500년 된 느티나무가 쓰러질 정도로 폭우와 강풍 피해가 컸던 수원의 한 쪽방촌의 경우, 일부 주민들이 임시 거처를 찾고 있습니다.

[장마 되면 떠나가요 사람들이 나간다고. 자꾸 떠나. 여기 환경이 이러니까.]

서울시 등 지자체는 쪽방촌 건물 대부분 개인 소유인 만큼 시예산을 들여 보수하기 힘들다는 입장입니다.

[서울시 관계자 : 아무래도 건물 자체가 노후화됐고 좋지 않으니까 일반 주민들보다는 (불편을) 더 심하게 느낀다고 봐야죠. 제습기나 환풍기를 사주거나 개선하는 방법으로.]

'시청 구청 공무원들도 이곳에 살아봐라!' 주민들이 지자체에 대책을 호소하며 내건 현수막입니다.

장마와 태풍이 지나가면 쪽방촌 주민들은 이번에는 또 폭염과 싸워야 합니다.

(인턴기자 : 이수형)

손광균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