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계파청산 하자면서…한국당 또 계파충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13 지방선거 참패 후 진행된 자유한국당 혁신 논의가 계파 갈등으로 흐르고 있다. '혁신의 제1과제'가 '계파 청산'이라는 문제의식에 공감하면서도 혁신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계파 대결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한국당은 21일 오전 의원총회를 열고 당 혁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성태 한국당 대표 권한대행은 "중앙당이 당의 모든 권한과 권력을 독식하는 제왕적 당권 구조를 해체하고 합리적 소통 구조에 기반한 민주적 정당 구조를 정립해야 한다"며 "중앙당 해체가 아니라 더 강도 높은 쇄신안과 개혁안이 도출돼야 하며, 대수술을 집도할 혁신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전권을 부여하고 우리 자신을 내맡겨야 한다. 저 자신부터 수술대에 제일 먼저 드러눕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중앙당 해체' 주장에 친박계 의원들은 김 권한대행의 사퇴를 주장하며 반발했다. 김 권한대행의 혁신안을 비박계가 당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방안이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총에서는 김 권한대행의 '책임론'도 불거졌다. 절차적 정당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앙당 해체, 혁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이라는 독단적 의사 결정을 했다는 주장이다. 김진태 의원은 "김 권한대행도 원래 물러나야 될 사람이다. 선거에서 졌는데 당연한 것 아닌가"라며 "권한도 자격도 없다"고 주장했다. 다른 참석자 역시 "친박계를 중심으로 김성태 원내대표가 사퇴하라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전했다.

친박계는 '비박계'로 분류되는 박성중 한국당 의원 메모가 언론에 공개된 것을 놓고 공세 수위를 더욱 높였다. 박 의원 메모에는 '친박·비박 싸움 격화' '친박 핵심 모인다-서청원, 이장우, 김진태' '세력화가 필요하다. 목을 친다'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일부 친박계 의원들은 박 의원을 당 윤리위원회에 회부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박 의원은 "'친박들이 당권을 장악하려고 노력한다. 당권을 잡으면 우리(복당파)를 칠 것이다'는 모임 참석자들의 우려를 간단히 메모한 것"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성태 혁신안'을 놓고 친박과 비박 간 갈등이 불거지는 것은 향후 예상되는 인적 청산 과정에서 세력이 약한 계파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우려 때문이다.

친박은 칼자루를 쥔 김 권한대행이 바른정당 복당파인 '비박계'라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반면 비박계 입장에서는 친박계가 정치적 구심점은 없지만 당내 단일 계파로는 만만치 않은 규모라는 점이 부담이다. 김 권한대행은 객관적 절차를 거쳐 혁신 비대위원장을 외부 인사로 영입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정치권에서는 비박계가 인적 청산을 주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친박·비박 간 계파 갈등으로 번지면서 인적 청산 목소리가 힘을 잃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한국당 입장에서 인적 청산 작업이 집안싸움으로 격화되는 것은 친박·비박 모두에 부담이다. 인적 청산이 당내 주류가 상대 진영을 쳐내는 수준에 머물면 당내 반발만 불러일으킬 뿐 성과를 거두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차기 총선까지 2년 가까이 남은 만큼 혁신비대위가 공천권을 행사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인적 청산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당내 일각에서도 계파 갈등이 더 불거지지 않게 하려면 강제적·인위적 인적 청산은 피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분위기다. 정진석 한국당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이 시점에 계파 갈등 또는 인적 청산 운운하는 것은 공멸로 가는 자살 행위"라며 "의원들 손에 든 비수를 내려놓아야 한다. 졸렬한 계파 의식을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정석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