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73년만에 용산 떠나는 미군…흉물 드래곤힐 호텔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용산 미군기지에서 열린 행사에 참여한 미군과 카투사 병사. [사진 주한미군]




주한미군사령부가 73년 만에 용산을 떠나 평택 시대를 개막한다. 21일 국방부에 따르면 주한미군은 이달 29일 평택 캠프 험프리스에 신축된 새로운 사령부 건물에서 청사 개관식을 열 예정이다. 부지면적은 24만㎡ 규모이며, 주한미군사령부 새 청사는 4층짜리 본관과 2층짜리 별관으로 이뤄졌다. 이에앞서 주한미군의 지상군인 미 8군사령부는 지난해 7월 평택으로 이전했다. 주한미군사령부와 유엔군 사령부 소속 군인들은 연말까지 모두 평택으로 옮겨간다. 용산 기지 안의 커미서리(대형 수퍼마켓)와 PX(영내매점)는 점포 정리 세일에 들어갔다. 한때 한국의 고위급 인사들이 애용했던 장군 식당인 하텔하우스는 이미 문을 닫은 상태다.

중앙일보

지난해 4월 25일 미 8군 사령부가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서 워커 장군 동상 이전식을 치르고 있다. 사령부 이전에 앞서 부대의 상징인 워커 장군 동산을 옮기는 것이다. 토머스 밴덜 전 미 8군사령관, 빈센트 브룩스 한ㆍ미연합사령관, 백선엽 예비역 대장 등이 워커 장군 동상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상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군은 1945년 9월 9일 미 육군 제24군단 예하 7사단 병력이 서울과 인천에 들어온 뒤 일본군을 무장 해제하고 주요 시설물 보호와 치안 유지를 담당했다. 이때 24군단이 서울 용산의 조선주둔군사령부 등 일본군 군사시설을 접수해 사령부로 사용했다. 이때부터 미군의 용산시대가 시작됐다.

중앙일보

1948년 미 7사단 31, 32 보병연대 건물. 현재 용산기지 메인 포스트다. 3 포병대 일대를 항공 촬영한 사진. [사진 미국 국립문서보관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후 1949년 주한미군이 철수하면서 미 군사고문단만 남았지만 1950년 6ㆍ25 전쟁이 일어나자 주한미군이 돌아왔다. 주한미군이 1953년 8월 다시 용산에 둥지를 텄고, 57년 7월 주한미군사령부가 창설됐다.

한ㆍ미는 2003년 5월 양국 정상이 용산 기지를 평택으로 옮기기로 합의했다. 당시 한ㆍ미 연합사령부와 기지 안의 숙박시설인 드래곤힐 호텔은 용산에 남기기로 했다. 하지만 연합사령부는 한국 국방부 영내의 7층짜리 독립 건물로 연말까지 이전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합참 청사의 2개 층도 연합사가 사용할 것이라고 군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중앙일보

주한미군 사령부가 이전할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의 모습. 오종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용산 기지 이전이 끝나면 2027년까지 이곳에 생태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 서울의 남북 녹지축을 연결하는 주요 결절점이자, 남산을 배후로 한강을 바라보는 배산임수이기 때문에 최적의 생태공원 입지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기간 중 “뉴욕 센트럴파크 같은 생태자연공원을 만들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다만 용산에 남는 드래곤힐 호텔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생태 공원과 어울리지 않고 전망도 망치는 ‘흉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소식통은 “미국이 드래곤힐 호텔의 잔류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병력이 평택에 있기 때문에 용산에선 투숙객이 많지 않아 호텔 운영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일보

용산공원 개발계획. [자료 국토교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용산 기지의 평택 이전비용 일부(3조4000억원)를 마련하기 위해 기지 주변의 캠프킴, 유엔사령부, 수송부 용지를 매각할 계획이다. 이미 유엔사 부지는 일반상업용지 입찰을 통해 1조552억원에 팔렸다. 주한미군은 평택에서 새로운 변화의 시기를 맞을 가능성이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철수 문제를 계속 거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