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中, 美 관세에 맞보복할 수단 한계있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서로 관세 부과 위협과 맞보복을 경고하면서 무역 전쟁에 다가서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대응 수단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19일(현지시간) 미국경제전문방송 CNBC는 미국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규모에 비하면 중국의 미 제품 수입량이 적어 부과할 수 있는 보복 관세에 한계가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센서스국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은 미국에 5055억달러 어치를 수출한 반면 수입은 1299억달러로 큰 차이를 보였다.

시장분석기업 LPL리서치는 투자 노트에서 “중국이 미국의 관세 부과와 맞먹게 대응할 경우 보복 수단이 바닥날 것”이며 또 “중국의 무역 관행이 불공정하다는 인식이 세계적으로도 커 미국이 양보를 요구할 수 있는 도덕적 근거를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초 골드만삭스의 전문가들은 가능성이 높은 중국의 대응으로 관세 부과 또는 미국산 상품이나 서비스 수입 제한으로 그 규모는 미국이 매기는 관세에 따라 정해질 것이라고 전망을 내놨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 앨릭 필립스와 앤드류 틸튼은 중국이 관세 이외에 사용할 수 있는 보복 수단인 애플이나 구글 모기업 알파벳 같은 미국 기업 불매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위배되고 위안 평가 절하는 위안을 안정시키려는 중국 정부의 계획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미국 국채 매각이나 대북한 경제 제재 완화는 미국 달러 가치에 별다른 변화를 주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지난 2013년말 이후 보유하고 있는 미국 국채를 10.2% 줄였지만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많은 1조1800억달러 어치를 갖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보유국가들이 미국 국채 매입을 계속 줄일 경우 미 정부는 대책으로 연금기금과 보험회사, 개인 투자자들이 그 공백을 메우게 하는 방법이 있다.

블리클리 어드바이저리 그룹의 최고투자책임자(CIO) 피터 부크바르는 사용 가능성이 높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전쟁 전략으로 “중국의 진 빼놓기"를 전망했다.

비컨 폴리시 어드바이저스는 미국이 중국에 위협한대로 2500억달러 관세 부과를 할 경우 지난해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5050억달러의 거의 절반 수준에 해당되는 제품의 가격을 올리는 세금이 될 것이라며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2차 관세 부과 위협이 행동이 아닌 위협으로 끝날 가능성도 높다고 전망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