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5 (일)

베이징 지하철도 '빅브러더'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항 이어 생체정보인식 도입

中 "이동시간 단축 목적" 설명에

로이터 "개인 감시 가능성" 지적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베이징 지하철에 생체정보인식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당국은 이동시간을 단축하려는 목적이라고 설명하지만, 중국 내 생체정보인식 기술 적용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개인에 대한 감시 논란은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차이나데일리는 19일 베이징지하철공사가 올해부터 생체정보인식 기술을 지하철역에 도입한다고 보도했다. 베이징지하철공사에서 사업개발을 책임지는 장화빙은 지난 14일 열린 국제지하철수송 전시회에서 생체정보인식 기술 도입 계획을 밝히며 “안면인식, 손바닥 인증 두 가지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베이징에는 608㎞를 연결하는 22개 도시철도 노선이 깔려 있으며 평일 1,000만명의 승객이 지하철을 이용한다. 2016년 연간 탑승 횟수는 전년 대비 6.8% 늘어나 30억회를 웃돌았다.

프로그램이 도입되면 사람들이 지하철에 몰리는 시간대에 이용객들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것이 베이징시의 설명이다. 카메라가 승객 위치를 파악해 이들에게 붐비는 구간을 알려주고 승객은 정보를 토대로 덜 붐비는 구간으로 우회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화웨이에서 철도사업을 담당하는 왕잔웨이는 “당국은 생체정보인식 프로그램으로 승객들의 이동시간을 단축해주려 한다”며 “지하철 전반에 해당 시스템을 도입할 정도로 기술은 발전했으며 승객들이 비용을 어떻게 부담하도록 할지가 문제로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용객 포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징 전체 지하철역의 25%인 96개 역에서 러시아워 이용객을 통제해왔지만 체증 문제를 해소하지는 못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월 상하이~푸장 노선에서는 무료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장애군인·퇴역군인·맹인 등을 대상으로 개찰구 통과를 위한 손바닥 인증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다.

하지만 당국의 설명과 달리 생체정보인식 시스템이 국가 통제에 악용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 정부는 앞서 국내 공항에서 카메라로 이용객 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공안들이 1초 만에 1만명의 신분을 파악할 수 있는 안면인식 안경을 착용하도록 하는 등 감시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 정부가 보안 강화, 패스트푸드 주문 간편화 등을 명목으로 전 분야에 감시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며 “이는 인권을 억압하고 반발을 억압하는 데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창영기자 kcy@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