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中企 필요인력 北서 50% 충당하면…남북경협 '시너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 올 3분기 남북경협 수요조사 진행

산업인력수요 110만명 중 55만명만 北대체해도 인력수급 '수월'

단기적으로 DMZ내 남북기술교육센터 설치 방안 거론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중소기업계가 북미정상회담 이후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남북경제협력(이하 경협) 재개에 대해 선제적인 준비에 나섰다. 아직 남북경협을 구체화하기에는 이른 시기지만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경협’ 방안을 조기에 마련, 향후 경협을 본격화할 경우 정책 방향을 이끈다는 전략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기업중앙회는 산하에 있는 협동조합 총 936곳을 대상으로 다음달 중 경협에 따른 수요조사에 착수한다. 관련 조사는 올 3분기 내로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경협 분야를 사전에 파악, 향후 경협을 본격화할 경우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중기중앙회는 이번 조사 이후 2차로 개별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앞서 중기중앙회는 중소기업 중심의 경협 추진 방안을 마련, 지난 4월 중소벤처기업부와 통일부에 전달했다.

중소기업계가 단기적으로 내세우는 경협 방안은 비무장지대(DMZ) 내 ‘남북기술교육센터’ 설치다. 이를 통해 북한 기술인력을 양성, 장기적으로 국내 중소기업계 부족한 인력을 대체할 수 있도록 만들자는 것이 골자다. 중기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 필요 인력(외국인 근로자 포함)은 약 110만명으로 추산된다. 이 중 절반인 55만명을 북한 근로자로 대체할 경우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꽉 막힌 중소기업 인력 수급이 원활해질 수 있다. 또한 북한 근로자들이 인당 연봉 약 3000만원(수당 포함) 중 2000만원을 송금할 경우 연간 총 11조원의 자금이 북한에 유입, 남북간 경제 격차도 줄일 수 있다는 계산이다.

변재용 중기중앙회 통일경제정보팀장은 “아직 이른 시점이지만 중소기업 중심 경협으로 방향을 이끌기 위해 물밑에서 선제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며 “우선 개성공단 재가동을 시작으로 북한 근로자 양성을 통해 남북간 인력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