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한미금리차 1%p까지 벌어질 수도…신흥국 위기 확산시 타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이 금리 인상 가속 페달을 밟고 있지만 한국의 경기 상황이 미지근해 금리를 따라 올리긴 어렵다는 진단이 나왔다.

당장 한미금리 역전 폭 확대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이나 신흥국 위기가 확산하면 한국 경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정민 연구위원과 김수형 연구원은 17일 '6월 미국 금리 인상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미국과 금리 격차 확대가 불가피해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이 있다"며 "신흥국 위기가 일부에서 전반으로 확산하면 한국 경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3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정책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아울러 완전 고용 수준의 노동 시장, 목표에 도달한 물가, 경제 확장세를 앞세워 올해 추가로 금리를 2번 올려 총 4차례 인상할 것임을 시사했다.

외국인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선 한국도 미국을 따라 금리를 올리는 편이 좋지만 문제는 국내 경기가 금리를 올릴 만큼 뜨겁지 못하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최근 경기 동행·선행 지수가 모두 하락세를 보이며 현재 경제 상황이 하강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신규 취업자 수는 5월 7만2000명에 그치는 등 고용 불안이 이어지고 있고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1% 중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고서는 "미국이 금리를 올해 총 4회 인상하면 정책금리는 2.25∼2.50%가 되면서 한미 금리 차는 0.75∼1.00%포인트까지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따라 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보다 한국 경제의 외환 건전성이 개선됐고 기초 체력이 양호해 외국인 자금 유출이 제한적일 수도 있다는 반론도 있다.

그러나 과거 1차 금리 역전 시기(1999년 6월∼2001년 2월) 한미금리 격차가 0.25∼0.50%포인트까지 확대될 때 외국인 자금이 유출됐고 2차 금리 역전 시기(2005년 8월∼2007년 8월) 한미금리 격차가 0.75%∼1.00%포인트였을 때 외국인들이 주식을 순매도한 전력이 있기도 하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