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경피적 내시경 이용술, 가장 효율적 디스크 치료지만 시행률 낮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스크로 알려진 '추간판 탈출증'의 수술적 치료 방법 중 '경피적 내시경 이용술'이 가장 효율적이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개방 추간판 절제술'이 가장 많이 시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정천기 신경외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03~2013년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가장 효율적인 수술이라고 평가된 경피적 내시경 이용술은 환부를 1~2cm 가량 절개한 뒤 내시경을 넣어 돌출된 추간판을 잘라 낸다. 수술을 받은지 5년안에 재수술을 받는 비율이 9.2%로 재수술율 1%를 줄이기 위해 투입된 직접 의료비용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가장 많이 시행되는 개방 추간판 절제술의 5년 내 재수술율은 10.5%로 집계됐다. 지난 2003년 추간판 돌출증을 치료하는 수술을 받은 환자 중 71.2%가 개방 추간판 절제술을 받았고, 2008년에는 이 비율이 84.1%로 늘었다.

같은 기간 효율적이라는 평가를 받은 경피적 내시경 이용술의 활용 비율은 16.7%에서 4.6%로 감소했다.

이외 5년 내 재발률이 10.77%인 척추후궁절제술의 점유율은 지난 2003년 8.1%에서 4.7%로 줄었고, 재발률이 7.56%로 가장 낮은 척추체유합술의 점유율은 4%에서 6.6%로 증가했다.

정천기 교수는 "추간판 탈출증에서 비용효과가 가장 좋은 수술 방법은 경피적 내시경 이용술이라고 할 수 있지만, 실제 수술 선택에 있어서는 이와 다른 결과가 나왔다"며 "이는 수술 비중이 2차병원과 같은 중형병원에서 많이 이뤄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학술지인 '스파인(Sp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