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5 (일)

P2P금융협회, 금융당국 주문 따랐더니…지난달 연체율 3.54%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실률 집계 없애고 연체율 산정방식 바꿔…"실제 연체율 급등 아냐"

부동산PF 비중, 전체 대출액의 36%…연체율 상위업체일수록 주로 취급

뉴시스

【서울=뉴시스】(자료=한국P2P금융협회 제공)



【서울=뉴시스】위용성 기자 = 한국P2P금융협회가 금융당국의 주문대로 회원사 연체율 산정 기준을 바꾸면서 지난달 연체율도 수치상 급등했다.

15일 협회에 따르면 회원사들의 평균 연체율(30일 이상 연체)은 3.57%다. 전월의 1.77%에서 크게 오른 수치다. 이는 협회가 연체율과 부실률(90일 이상 연체)을 나눠 표기하던 기존 방식을 연체율 하나로 통일했기 때문이다. 전월 부실률은 2.47%였다.

또 기존 연체율은 대출 잔액을 분모로, 부실률은 누적대출액을 분모로 계산했지만 변경 기준에 따라 앞으로는 잔액을 분모로 통일하게 됐다.

이는 금융당국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90일 이상 연체된 채권을 부실률로 따로 집계하면서 연체율 수치가 낮아보이는 것을 시정하라는 권고였다. 금융당국의 기준에 맞췄더니 수치가 두 배 가까이 오른 셈이다.

물론 실제 연체율이 한달 새 급등한 것은 아니지만 우려는 있다. 지난달 누적대출액 2조2093억원 가운데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이 차지하는 비중이 36%에 달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특히 부동산 PF에 대한 건전성 경고를 주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P2P연계 대부업자 75곳을 조사한 결과 부동산 PF의 연체율은 5%, 부실률은 12.3%였다. 전체 대출 평균의 연체율(2.8%)과 부실률(6.4%)의 두 배다.

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따져봐도 지난달 연체율 상위를 기록한 이디움펀딩(35.41%), 스마트펀딩(28.96%) 등은 대체로 부동산 PF 취급 비중이 높은 업체들인 것으로 공시돼 있다.

한편 협회는 최근 렌딧, 8퍼센트 등 기존 업체들이 새 협회를 만들겠다며 이탈하는 등 내홍을 겪었다. 업계에 따르면 회원사들의 연이은 협회 탈퇴는 부동산 위주의 회원사들과 나머지 회원사간 방향이 서로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에 변경된 연체율 공시 방법을 두고도 이사회에서 잡음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협회 이사회에 참석했던 한 관계자는 "당시 연체율 산정 방식을 놓고 회원사간 이견이 있어 이사회에서 합의를 보지 못했었다"며 "새 산정 방식이 연체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일부 업체들이 부담스러워 했다"고 전했다.

up@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