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靑, 국민청원 애프터서비스 “몰카카메라 구매자 인적사항 보고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4일 국민청원 기존 답변 이행상황 점검 후 국민 보고 형식

임규숙 여성가족비서관 ‘디지털 성범죄 대책’ 설명

위장형카메라 수입 판매업 등록제 추진, 범정부 대책 추가 발표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청와대가 15일 국민청원 애프터서비스를 시작했다. ‘청원 AS’는 청와대가 그동안 답변했던 국민청원과 관련해 국민께 드렸던 약속이 잘 이행되고 있는지 점검한 후 국민께 보고 드리는 사후 서비스 형식이다

청원 AS의 첫번째 사례는 디지털 성범죄 대책이다. 지난 5월 21일 답변한 △몰카범죄 처벌 강화 △여성도 대한민국 국민, 국가 보호 요청 청원에 대한 후속 답변이다.

엄규숙 청와대 여성가족비서관은 이날 오전 청와대 SNS라이브 ‘11시50분 청와대입니다’에 출연, 불법촬영 범죄를 줄이기 위해 위장형·변형 카메라 유통 관련, 제조·수입·판매에 등록제를 도입하고 구매자 인적사항과 판매량을 보고하도록 하는 내용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엄 비서관은 “위장형·변형 카메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 부처 합동으로 진행한 연구가 5월에 마무리됐다”며 “범정부 차원 대책을 꾸준히 추진하는 동시에 국회 계류 중인 ‘위장형카메라 관리에 관한 법률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오늘 오전 여성가족부, 교육부, 법무부, 행안부, 경찰청 등 5개 부처 공동으로 불법촬영 범죄 근절을 위해 단호하고 신속한 대응을 약속했다”며 “정부는 불법촬영과 성차별로 고통받는 여성들의 공포와 분노에 공깊이 공감하고 가능한 모든 수단과 자원을 동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이와 관련해 50억원을 지자체에 지원해 공중화장실 불법 카메라 탐지기를 확보하고 상시점검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엄 비서관은 아울러 실시간으로 음란물을 탐지, 차단할 수 있는 유해정보 차단기술을 과기정통부 주도로 개발하는 등 불법영상물 유포를 차단하기 위한 정부의 다양한 노력도 소개했다.

정혜승 뉴미디어비서관은 “청원에 제기된 문제들은 단숨에 해결 가능한 문제보다는 법과 제도 안에서 차근히 풀어가야 할 것들이 많다”면서 “당장 속 시원한 해법을 드리지 못하더라도 ‘청원 AS’를 통해 국민께 드린 약속들이 어떻게 지켜지고 있는지 알려드리겠다”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