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홍준표 물러나면서도…“나라가 통째 넘어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한국당 앞날은

유례없는 참패에 지도부 ‘줄사퇴’

오늘 비상의원총회 수습안 논의

비대위 체제 전환 뒤 조기전대 전망



한겨레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14일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사퇴 의사를 밝힌 뒤 당사를 떠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큰 웃음 주는 홍준표 사퇴 반대” 청와대 청원 등장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14일 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사퇴했다. 하지만 마지막까지 반성과 성찰은 없었다.

홍 대표는 이날 오후 2시 열린 최고위원회에 참석해 “우리는 참패했고, 나라는 통째로 넘어갔다. 모두가 제 잘못이고 모든 책임은 저에게 있다”며 대표직 사퇴를 선언했다. 그는 “국민 여러분들의 선택을 존중한다”며 “오늘부로 당 대표직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그는 1분여간 준비한 발언을 간단히 읽은 뒤 질문도 받지 않고 곧바로 회의장을 떠났다. 자유한국당은 문재인 정부를 ‘좌파 정부’로 규정하며, “나라를 통째로 넘기시겠습니까”를 지방선거 주요 슬로건으로 활용해왔다. 지방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자, 이에 대해 “나라가 통째로 넘어갔다”며 부정적인 평가를 덧붙인 것이다.

그는 전날 방송 3사의 출구조사에서 대구·경북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전패하는 것으로 나타나자 “아직도 믿기지 않은 부분이 있다”며 최종 결과가 나올 때까지 개표 상황을 지켜보고 거취를 표명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최종 개표 결과, 출구조사 내용이 현실화되자 14일 오전 사퇴의 뜻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보수정당 역사상 ‘유례없는 참패’에 당내도 술렁였다. 홍 대표 사퇴 발표에 앞서 지도부 사퇴부터 줄줄이 이어졌다. 당 지도부에 대한 성토,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보수의 혁신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반성이 함께 터져나왔다. 김태흠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1년간 홍 대표 견제를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역부족이었다”며 사퇴의 뜻을 밝혔다. 주광덕 경기도당 위원장도 “민심과 당심 모두를 우리 당 스스로 저버렸다”며 도당위원장직을 내려놓고 백의종군할 뜻을 밝혔다. 심재철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난해 대선으로 민의의 처절한 심판을 받았음에도 거듭나지 못했다”는 자책의 글을 올리며 “존폐 위기에 버금가는 국민의 경고 앞에 남은 것은 통렬한 자기반성과 철저한 자기혁신밖에 없다”고 썼다.

자유한국당은 15일 낮 2시 비상의원총회를 열고 당 수습 방안 및 차기 지도부 구성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당 대표 권한대행으로서 최고위원회 직후 기자들 앞에 나선 김성태 원내대표는 “이번 선거를 통해 성난 국민의 분노에 어떻게 답할 것인지, 냉정하고 치열한 논쟁을 갖겠다”고 말했다. 일단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전환한 뒤,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지도부를 교체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하지만 ‘보수정당 역사상 최악’의 패배에 직면하면서, 당내에선 단순한 지도부 교체·쇄신 작업을 넘어 보수 대통합론, ‘당 해체론’까지 다양한 요구가 터져나오고 있다. 김용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정체성과 신념 체계를 재정립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그런 연후에야 새로운 리더십을 어떻게 세울지, 무엇을 할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의 페이스북에 썼다. 영남권의 한 초선의원은 “조기 전당대회를 통한 지도부 교체 정도로는 도저히 국민들이 원하는 보수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어렵다고 본다. 재창당이든 해체든 ‘보수 대통합’을 통한 인적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일부 초선의원은 오는 16일 모임을 열어 당 쇄신 방안을 논의하는 등 당내에서 뜻을 함께하는 의원들 간 의견 교류도 물밑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화보]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