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5 (일)

객석 가운데 선 '연예인' VS 환상세계 속 '광대'···리처드 3세, 6월 달구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국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창조한 가장 매력적인 악인 ‘리처드 3세’가 한 편의 연극에선 대중을 홀리는 연예인(entertainer)으로, 또 한 편의 연극에선 환상세계에 사는 광대로 무대에 오른다. 굽은 등에 절름발이로 신체적 결함을 지녔지만 화려한 언변과 뛰어난 두뇌로 권모술수에 능했던 리처드 3세는 영국 요크 왕조의 마지막 왕이었던 실존인물 리처드 3세(1452~1485)를 모델로 셰익스피어가 빚어낸 희대의 악인이다.

독일 연출가 토마스 오스터마이어의 해석으로 탄생한 ‘리처드 3세’(14~16일, LG아트센터)는 객석 가운데 서서 관객 한 사람 한 사람의 가면을 들추고 욕망에 불을 비춘다. 반면 프랑스 연출가 장 랑베르-빌드가 빚어낸 ‘리차드 3세’(29~7월1일, 명동예술극장)는 비현실적인 이미지를 통해 선과 악, 추함과 매력을 동시에 지닌 리차드 3세의 양면성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한다. 두 작품 모두 권력과 욕망의 허무함을 보여주지만 화법에선 큰 차이가 있는 셈이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먼저 관객을 찾는 작품은 14일 서울 역삼동 LG아트센터에서 막을 올린 ‘리처드 3세’다. 2015년 2월 독일 베를린에서 초연된 이후 같은 해 아비뇽 페스티벌, 이듬해 에든버러 페스티벌에서 공연하며 극찬을 받았던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셰익스피어 시대의 원형극장 형식으로 객석과 경계를 허문 무대 디자인이다. 무채색의 황량한 무대 가운데는 록밴드 콘서트를 연상하듯 드럼 연주자가 자리하고 배우는 무대와 객석을 오가며 관객들을 정치적 대립과 술책의 소용돌이 속에 불러 세운다. 14일 LG아트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오스터마이어 연출은 “마치 리처드 3세가 록스타가 된 것처럼 관객들은 그의 사악한 면모에 유혹당하는 동시에 그가 저지르는 악행의 공범자가 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며 “관객들은 단순히 리처드 3세를 사악한 인간이라고 치부하는 대신 묘하고 불편한 매력을 느끼게 되고 동시에 관객 내면에 숨겨진 욕망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고 연출의도를 설명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통을 이어받아 이달 말 국립극단이 명동예술극장에서 선보이는 ‘리차드 3세’는 하얀 분칠을 한 얼굴에 잠옷이나 도자기 갑옷 같은 우스꽝스러운 복장으로 무대에 선다. 리처드 3세를 다룬 수많은 연극이 인물의 악행과 비극에 집중했다면 이 작품은 광대극 특유의 환상적인 이미지와 유머에 집중한다. 40명에 달하는 원작의 인물들을 2명의 광대가 2인극 형식으로 소화하는데 자신이 리차드 3세라고 착각하는 광대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독창적인 스토리를 만들어 냈다.

오스터마이어의 무대가 무채색에 핏빛을 더했다면 랑베르-빌드의 무대는 서커스 무대 못지 않게 화려하고 몽환적이다. “연극의 기술은 시적인 아름다움을 위해 활용돼야 한다”는 철학대로 배우이자 연출가, 무대 디자이너로서 이 작품을 완성한 랑베르-빌드는 “흔히 ‘리차드 3세’를 비극으로 해석하지만 작품에 녹아 있는 유머가 비극 속에 희극의 요소를 섞고 희극 속에 비극의 요소를 숨겨두는 셰익스피어의 천재적인 극작술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라며 “극의 기묘한 분위기가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서은영기자 supia927@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