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인천 인구 294만명… 제2도시로 성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행안부, 위상 맞게 인사교류 확대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천이 머지않아 부산을 제치고 우리나라 ‘제2의 도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 규모로는 부산을 따라잡았고, 인구수도 10년 안에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인천의 위상 변화에 맞춰 인사 교류 확대를 추진한다.

12일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의 주민등록 인구는 347만 653명으로 10년 전인 2008년(356만 4577명)보다 10만명 넘게 줄었다. 반면 인천의 지난해 주민등록 인구수는 294만 8542명으로 2008년(269만 2696명)보다 30만명 가까이 늘었다. 1995년과 비교하면 부산(389만 2972명)은 23년 만에 40만명 이상 줄었지만, 인천(236만 2132명)은 50만명 넘게 불어났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두 도시 간 인구수가 10년 안에 역전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인천은 2016년 10월 19일에 ‘300만명 도시’(주민등록 인구 294만 1405명, 외국인 5만 8608명)를 선언했다. 서울과 부산에 이어 세 번째다.

경제 규모는 이미 뒤집힌 것으로 추정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지역 소득’에 따르면 부산의 명목 지역내총생산(GRDP)은 81조 2000억원으로 인천(80조 9000억원)과의 격차가 3000억원으로 좁혀져 지난해는 인천이 역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8년만 해도 두 도시의 격차가 8조원이 넘었던 것을 감안하면 인천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이 부산을 넘어설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며 “인구가 꾸준히 늘어 경제 활성화의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 부산과 인천에서는 이미 ‘제2의 도시’ 이슈를 두고 자존심 싸움을 벌이고 있다. 17개 광역지자체 협의체인 전국시·도지사협의회 관계자는 “제2 도시가 바뀌는 것은 우리나라의 지역 질서를 새로 쓰는 민감한 문제이다 보니 지자체 간 논의가 조심스럽다”고 말을 아꼈다.

행안부 관계자는 “인천이 경제 규모나 인구수로 제2의 도시가 된다고 해도 당장 의전이나 재정상 혜택이 달라지지는 않는다”면서도 “장기적으로 ‘제2국무회의’(대통령과 광역지자체가 함께 참석하는 논의기구) 등에서 의전 순서가 바뀔 수 있고 이에 맞춰 인사 교류도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