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경북 고령에 종합운동장이 없는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백억 건설비·운영 비용 절약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북 고령군이 도내에서 유일하게 공설 종합운동장을 건립하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11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23개 시·군 가운데 종합운동장이 없는 곳은 군위군과 고령군뿐이다. 그러나 군위군은 내년까지 241억원을 들여 종합운동장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고령군은 종합운동장 건립 계획이 아예 없다. 재정자립도 10%대에 불과한 미니 지방자치단체인 터에 수백억원을 들여 운동장을 건립하고 연간 10억원 정도의 운영비까지 부담할 경우 엄청난 혈세 낭비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서다. 인구가 고령군(3만 6785명)보다 훨씬 적은 울릉군(1만 97명)조차 이미 2012년 160억원을 들여 번듯한 종합운동장을 갖췄다. 도내 대다수 시·군 종합운동장 활용도가 극히 낮아 애물단지로 전락한 지 오래됐다는 점도 작용했다.

대신 고령군은 2005년 22억원을 들여 대가야읍 회천변에 4만 8000㎡ 규모로 만든 생활체육공원을 대체해 계속 활용하기로 했다. 생활체육공원엔 축구장 2면을 비롯해 야구장(3면), 풋살장(1면), 농구장(1면), 배구장(1면)이 있다. 특히 연간 100회 이상 체육대회 및 행사 개최 장소로 활용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한몫하고 있다.

군은 또 대가야읍 일원에 종합운동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매우 높은 실내체육관을 지어 주민들에게 최상의 편의를 제공할 계획이다.

윤문조 고령군수 권한대행은 “민선 단체장들이 정확한 수요를 예측하지도 않은 채 치적용이나 선심용으로 대규모 종합운동장을 짓다 보니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령군은 이런 문제를 사전에 차단해 예산을 절약하는 한편 주민 위주의 행정 서비스 향상을 위해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고령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