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경기연구원 "경기북부 미군 공여지, 남북교류 거점 삼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硏 반환구역 개발 보고서

지원규모·범위 확대 필요 지적

경기 북부지역에 있는 반환예정인 미군 공여지를 4차 산업혁명과 남북교류의 핵심거점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1일 ‘미군 반환공여지 국가주도 개발에 따른 경기도 대응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11월 6~20일 동두천·파주·의정부시 거주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반환공여구역 개발사업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12.3%, ‘주민지원사업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23.8%에 그쳐 주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규모와 범위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사업 부진의 원인에 대해 응답자의 67.9%가 국가·지자체의 관심 및 지원 부족을 들었다. 반환공여구역 개발의 사업 방향은 ‘지역경제 활성화’ 70.3%이며 구체적인 반환공여지 사업으로는 ‘일자리 및 산업단지사업 73.3%을 나타냈다. 장윤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북부에 위치한 반환공여구역이 4차 산업혁명, 남북교류, 수도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 핵심거점이 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개발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경기도내 미군 공여구역은 51곳이다. 이 가운데 반환대상이면서 활용 가능한 구역은 의정부 8곳, 파주와 동두천 6곳씩, 하남과 화성 1곳씩 등 모두 22곳이다. 16곳은 실제 반환이 이뤄졌다.

/수원=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