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서울을 4차산업 중심지로”…시장후보 공약 살펴보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지방선거가 2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주요 후보들의 공약도 확정, 발표되고 있다.

지자체 중 가장 크고 각 당에서 심혈을 기울이는 곳은 바로 수도 서울이다. 3선에 도전하는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가 앞서고 있는 가운데 바른미래당 안철수,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가 2~3위 자리를 놓고 경합 중이다.

수도 서울 후보인 만큼, 공약도 다른 지역에 비해 스케일이 남다르다. 각 후보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공약부터 통신비 인하 약속, 창업 지원 공약들도 제시되고 있다.

디테일에서는 박원순 후보가 단연 돋보인다. 재선을 통한 시정의 정확한 파악, 어떤 것이 부족하고 어떤 성과를 이뤄냈는지 정확한 분석이 가능한데다 조직적 지원도 3당 중 가장 나은 것으로 평가된다. 현역 프리미엄을 톡톡히 누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박원순 후보는 최근 66대 공약을 발표했는데 이 중 8개 가량이 4차 산업혁명과 관련돼 있다. 특히, 중앙정부의 정책 방향과 궤를 같이하면서 시너지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약 중 참신한 아이디어로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도입한 공유주차제도 도입을 꼽을 수 있다. 서울시 최악의 교통문제로 꼽히는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유주차제를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부설주차장, 그린파킹사업 등에 IoT 기술을 도입해 부족한 주차공간 해소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박 후보는 홍릉을 4차산업혁명 전진기지로, 마곡지역을 스마트시티 클러스토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밖에 스마트시티 전담조직 신설, 블록체인 기반 공유행정도 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자율협력주행 테스트베드 조성, V2X 커넥티드 카 혁신사업(C-ITS) 추진, 미래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분석 강화 등 자율주행차 기반 조성도 제시했다. 이밖에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통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공공정책에 필요한 정보교류 체계도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도 서울을 4차산업혁명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안 후보는 반도체를 제외하면 한국경제의 버팀목이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진단했다. 하지만 어느 지역보다 우수한 서울의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일자리가 넘치는 서울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 위해 안 후보는 서울 5대 권역을 특화된 산업으로 재편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했다. 용산~광화문~청계천~동대문을 연결하는 도심권은 '관광한류밸리'로 만들고 창동~신내~홍릉 벨트는 '4차산업과 창업 밸리'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암~은평 지역은 문화산업과 방송산업의 중심의 '미디어밸리'로, 강남권은 융,복합형 컨벤션산업, 전시산업(MICE), 웰니스(웰빙+건강)와 레저가 융복합되는 '강남스타일밸리'로, 마곡~가산을 연결하는 서울 강서권은 IT 기반의 유통과 스마트그리드를 특화하는 'IoT유통밸리'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특히, 안 후보는 용산전자상가를 복합개발을 통해 게임산업의 메카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게임 관련 전자제품과 소프트웨어를 체험하는 공간으로 탈바꿈 시키겠다는 것이다. 용산에 e스포츠 경기장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밖에 신내 철도차량기지를 4차 산업혁 미래연구센터로 조성하는 것을 비롯해 창동 철도차량기지와 도봉면허시험장을 스타트업 특구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는 4차 산업혁명 보다는 미세먼지, 복지, 교통 등에 초점을 맞췄다.

김 후보는 생활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통신비 절감 공약을 제시했다.

버스, 지하철, 정류장, 공원 등에 고품질 공공 와이파이존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1만개의 무선공유기를 3만개로 확대하고 기존의 와이파이 품질 개선 및 보안문제도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와이파이존 확대에 따른 비용은 광고 등을 통해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김 후보는 서울시가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 요금은 서울시가 부담하는 일명 제로 레이팅을 적극 도입하기로 했다. 서울대중교통, tbs교통정보 등 스마트폰 앱에서 발생하는 모바일 데이터 사용 비용은 서울시가 부담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시민 누구나 시정에 참여할 수 있는 '서울시민 동영상 신문고'를 신설하고 이에 따른 데이터 부담 역시 서울시가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