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단독] ‘채동욱 뒷조사’ 박근혜 청와대 파견 경찰 소환 통보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檢, 전·현직 경찰 2명 개입 정황 / 국정원서 넘겨받은 정보 토대로 / 혼외자 의혹 확인과정 핵심 역할 / 향후 靑 윗선까지 수사 확대 전망 / 경찰 지도부 책임론으로 번질 수도

세계일보

검찰이 박근혜정부 시절 채동욱 전 검찰총장 뒷조사에 국가정보원과 서울 서초구 관계자 외에도 전·현직 경찰관 2명이 관여한 단서를 잡고 소환조사하기로 했다. 이들은 2013년 당시 청와대 파견근무를 한 것으로 드러나 향후 청와대 고위층으로까지 수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팀장 박찬호 2차장검사)은 국정원이 2013년 채 전 총장의 개인정보를 불법으로 입수해 사찰하는 과정에 관여한 혐의로 제주경찰청 소속 김모 총경에게 14일 검찰에 출석해 조사받도록 통보했다고 13일 밝혔다. 김 총경은 사찰 논란 당시 청와대에 파견되어 근무했다.

검찰은 김 총경과 비슷한 시기 청와대 파견근무를 함께 한 전직 경찰관 강모씨도 채 전 총장 개인정보 불법 사찰에 관여한 정황을 포착해 소환조사 일정을 협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 총경과 강씨는 청와대가 국정원에서 넘겨받은 채 전 총장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혼외자 의혹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수사는 채 전 총장을 불법으로 뒷조사하는 과정에 박근혜정부 청와대가 어느 수준까지 개입했는지를 파악하는 데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검찰은 채 전 총장 사찰에 국정원과 서초구 직원이 관여한 사실을 확인하고 관련자를 구속했다. 국정원 댓글 사건을 강도높게 수사하던 채 전 총장을 ‘찍어내기’ 위해 국정원 차원의 조직적 공작이 이뤄졌다는 게 검찰의 잠정 결론이다. 경찰 관계자 개입이 드러난 데다가 그들이 청와대에 근무했다는 점에서 검찰 수사가 박근혜정부 고위층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박근혜정부의 국정원에 이어 경찰까지 민간인 사찰 의혹에 휘말리면서 경찰 지도부 책임론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과거 경찰이 채 전 총장의 불법 사찰에 관여했다는 의혹은 공공연한 비밀에 가깝다. 그런데도 경찰 지휘부는 의혹을 확인하려고 하기보다 오히려 관련자를 승진시키는 등의 행태를 보였다.

경찰 한 관계자는 “경찰 내부에 아직 박근혜정부 쪽 인맥이 많이 살아 있어 채 전 총장 관련 의혹으로 이들을 문책하면 파장이 커질까봐 그냥 방치한 것 아니겠느냐”고 꼬집었다.

검찰 수사에서 이들이 채 전 총장의 혼외자로 지목된 채모군을 미행하는 등 미성년자까지 사찰한 사실이 드러날 경우 파장은 커질 전망이다. 경찰관이 청와대 파견근무를 하는 관행에 대한 비판 여론도 거세질 수 있다. 사정기관의 한 관계자는 “당시 일부 경찰이 불법 사찰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파다했다”며 “이제라도 의혹이 규명되면 다행”이라고 말했다.

배민영·남정훈 기자 goodpoin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