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6 (월)

트럼프·시진핑 긴급 통화…美北회담 시기·장소·의제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2차 北中정상회담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극비 방중 사실이 확인된 직후인 8일 오전(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긴급 전화통화를 하고 한반도 문제를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이날 통화에서 미·북정상회담 준비와 비핵화 방안, 미·중 무역분쟁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

시 주석은 김 위원장과의 다롄 회동 결과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했으며 북한의 비핵화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다만 미·북 회담 시기와 장소, 의제 문제를 놓고 중국의 우려를 설명했으며 김 위원장의 입장을 시 주석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 앞서 자신의 트위터에 시 주석과의 통화 예정 사실을 전하면서 "주요 의제는 좋은 일들이 일어날 것으로 보이는 무역과 신뢰가 구축되고 있는 북한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이 미·북정상회담 준비에 돌발변수로 부상한 형국에 미·중 정상이 통화해 주목된다. 김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존 볼턴 백악관 안보보좌관-트럼프 대통령으로 이어지는 소통라인을 통해 전달하지 못한 것을 김 위원장-시 주석-트럼프 대통령 라인을 통해 전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정상회담 날짜와 장소가 결정됐다고 밝힌 지 사흘이 지나도록 감감무소식이고, 북한 내 미국인 억류자 석방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당초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극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미·북정상회담 시기와 장소 발표를 일부러 늦춘다는 분석이 우세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상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미국 정부가 기존의 '완전한 비핵화(CVID)'보다 강도 높은 '영구적인 비핵화(PVID)'라는 새 목표를 언급하고 폐기 대상에 생화학무기까지 포괄하는 등 대북 요구사항을 늘리자 북한이 미·북정상회담에 거부감을 갖게 됐다는 분석이 있다. 미국 국무부가 미·북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도 반드시 거론하겠다고 한 것이 북한의 거부감을 자극했다는 해석도 제기됐다. 핵실험과 미사일 시험발사 중단, 그리고 핵폐기장 폐쇄, 폐쇄 시 외부 공개 등을 공표하며 비핵화의 진정성을 선전했던 북한이 돌연 외무성 대변인을 통해 미국의 압박 강화에 반발한 것이 최근에 갑자기 달라진 기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미·북정상회담 시기와 장소가 확정됐다.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튿날인 5일에도 이 같은 사실을 재확인했다. 하지만 주말을 넘긴 7일까지도 트럼프 대통령은 진전 상황을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백악관도 침묵했다.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