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가 지난 2004년부터 8년 동안 지원한 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단장 임교빈)이 지난 7월 사업을 종료하고 최종연구성과 발표회와 기술이전설명회를 19일 팔래스호텔에서 개최한다. 바이오신약장기사업은 정부의 차세대성장 동력사업의 일환으로 총 1149억 원(정부 983억, 민간 166억 원)이 투입됐다. 장기복제이식기술개발, 단백질 칩기술개발, 약물전달시스템기술개발 및 면역기능제어기술개발 등 4개 중요분야를 지원했다.
바이오신약장기사업은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제넥신 서유석 박사 연구팀은 국내 최초로 자궁경부암 치료 백신을 개발해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치료제가 제품화될 경우 미혼여성과 임신을 계획 중인 젊은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부작용이 없고 효과적 블록버스터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LG생명과학 연구팀(책임자 오재훈)은 혈액 한 방울로 150분 내에 60가지 알레르기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알레르기 진단칩(어드밴슈어 알레르기 스크린 및 알로스캔)'을 개발,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국내에 제품을 출시했다. 누적매출액 115억원의 성과를 올렸다. 외국 지역 특성에 특화된 칩제품을 개발했고 앞으로 유럽, 지중해 연안국, 중동, 북미지역 등에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단국대 심호섭 교수팀은 2009년 4월에 세계 3번째로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유전자가 적중된 무균 미니돼지 '지노'를 개발한 바 있다. 추가 연구를 통해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유전자가 모두 적중된 미니돼지 생산에 성공했다. 이종이식 거부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전자 2개가 추가로 삽입된 형질전환 세포주를 확립했다.
이번 바이오신약장기사업은 총기술료 92억 원에 27건의 기술이 이전됐고 ▲전임상 진입 13건 ▲563건의 특허 출원(연구비 1억원당 0.57건) ▲237건의 특허 등록(연구비 1억원당 0.24건)의 성과를 도출했다. 국내외 학술지에 SCI 논문 총 782편이 발표됐다.
정종오 기자 ikokid@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