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위 발족…위원장에 김영란 전 대법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중학교 3학년생이 치르는 2022학년도 대학입시 제도 개편을 위해 국가교육회의가 공론화위원회(공론화위)가 구성을 마쳤다. 이른바 '김영란법'으로 잘 알려진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이 공론화위 위원장을 맡는다.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는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를 담당할 '공론화위원회'를 발족하고 위원 7명(위원장 포함)을 위촉했다고 29일 밝혔다. 공론화위는 국가교육회의 내 대입제도개편특별위원회(대입특위)와 함께 대입제도 개편안(교육부 권고안)을 확정하는 중책을 맡은 기구다.

국가교육회의는 "김 전 대법관이 법조계에서 30년간 국민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한 점, 청탁금지법을 제안해 우리 사회의 신뢰 수준을 높인 점을 고려할 때 여러 주장과 갈등이 있는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를 공정하고 중립적으로 이끌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원으로는 △강현철 호서대 빅데이터경영공학부 교수 △김학린 단국대 협상학과 교수 △심준섭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이명진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이희진 한국갈등해결센터 사무총장 △한동섭 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가 참여한다. 모두 갈등관리, 조사통계, 소통 분야 전문가다.

강현철 교수는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을, 김학린 교수는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을 맡고 있으며 심준섭 교수는 한국갈등학회 이사로 일하고 있다. 이희진 사무총장은 국무조정실 신고리공론화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국가교육회의는 2022학년도 대학 입시제도 개편을 위해 '대입제도 개편 특별위원회'와 '공론화위원회'를 두고 있다. 공론화위는 앞으로 대입제도 개편 특위가 정한 공론화 범위 안에서 구체적인 개편 시나리오(공론화 의제)를 정한 뒤 이를 바탕으로 TV토론과 국민 여론수렴 등 공론화 절차를 진행한다. 공론화 결과를 정리해 대입제도 개편 특위에 넘기면 특위는 이를 바탕으로 다시 교육부에 넘길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을 마련한다.

신인령 국가교육회의 의장은 "공론화위의 공정성과 전문성을 확보해 정책 결정 과정에 대한 국민의 참여를 확대하고 국민 신뢰를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김효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