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靑 "남북정상 핫라인 통화, 정상회담 이후에 할 수도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회담 당일인 27일 전 통화한다면 상징적 의미…필요한가 논의 중"

남북정상회담 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핫라인으로 통화하기로 한 협의와 관련해 청와대는 정상회담 이후로 통화 시점이 미뤄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오늘(24일) 기자들을 만나 정상 간 핫라인 통화 일정을 두고 "정상회담 전이 될지, 후가 될지 (정해지지 않았다)"라고 전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정상회담 전에 정상 간에 통화하기로 한 합의에 대해 "(정상회담 날짜인) 27일 전에 한다면 상징적인 (통화인) 것인데 굳이 상징적인 것을 할 필요가 있을까 싶은 것"이라며 이같이 설명했습니다.

또 관계자는 "남북이 서로 상의해서 굳이 (정상회담 전 통화가) 필요한지 논의 중"이라고 말한 데 이어 '날씨나 안부를 묻는 정도라면 꼭 할 필요는 없다는 뜻인가'라는 물음에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분위기로 보면 안 할 가능성이 51%"라고 언급했습니다.

청와대는 한 차례 더 열릴 것으로 예정됐던 고위급회담 역시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남북은 지난달 29일 첫 고위급회담을 열고 4월 중 후속 고위급회담을 통해 의제 등을 논의하자고 한 바 있습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전반적인 회담 준비가 차질 없이 이뤄지고 있어 고위급회담을 할지, 아니면 (다른) 상호 간 조율을 통해 논의할지는 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상회담 전 의제 조율 등을 위해 검토됐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의 방북도 사실상 이뤄지지 않을 전망입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정 실장과 서 원장이 방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며 "의제나 의전, 경호, 보도 등의 조율에 어려움이 있을 때 방북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했는데 원만하게 일이 진행돼 굳이 올라갈 필요는 없는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공동합의문 초안 작성이 끝났다는 것을 의미하는가'라는 물음에는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정상회담 당일 공식환영식 등이 이뤄지는 것을 두고 '김정은 위원장을 국빈으로 예우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 데 대해 "경호나 의전, 경비 부담, 숙소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통상적인 '국빈예우'와는 다를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우리 정부는 최선을 다하고 정성을 들여서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