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靑 "지방선거 후 조직개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취임 1주년 맞아···동시 개각 가능성도

서울경제


청와대가 지방선거 후 청와대 내 조직개편을 단행하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1주년을 맞아 그동안 제기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조치다.

24일 김의겸 대변인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청와대 내 조직진단 및 각 부서의 업무평가를 진행해 그 결과에 따라 지방선거 이후 청와대 조직개편 방안 등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오는 5월이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 1주년이 된다”며 “청와대는 지난 1년간 청와대 조직을 운영하며 제기된 다양한 의견들과 각 조직의 성과를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향후 국정운영에도 반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특정 수석비서관실이 없어지거나 생길 가능성은 알 수 없다”며 “비서관급은 조금 신설되거나 통폐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정책홍보 관련 비서관이 신설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현재는 대변인 등이 대언론 소통창구 역할을 하지만 경제·일자리·구조조정 등을 전담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창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청와대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대규모 개편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실제 참여정부는 출범 1년이 지난 2004년 5월 ‘2실장·5수석·6보좌관·40비서관’ 체제를 ‘2실장·6수석·5보좌관·48비서관’ 체제로 바꿨다. 사회갈등조정을 담당하는 시민사회수석을 신설하고 당시 문재인 민정수석을 임명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 조직개편으로 지방선거 후 개각도 함께 단행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청와대 조직을 바꾸면서 자연스럽게 부처 장관들도 교체하는 그림이 그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개각을 전혀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고 했지만 최근 문제가 된 일부 부처 장관이 교체될 수 있다는 관측은 꾸준히 흘러나오는 상황이다.

/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