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데드라인' 한국GM, 법정관리 가나…노사 막판 교섭 돌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조조정 중인 한국GM의 법정관리 신청 여부가 20일 오후 결정됩니다.

한국GM에 따르면 노사는 이날 오후 1시부터 인천 부평공장에서 2018년도 임금·단체협약(이하 임단협) 교섭을 재개했습니다.

20일은 제너럴 모터스(GM) 본사가 임단협 합의 불발 시 법정관리를 신청하겠다며 '데드라인'으로 언급한 날입니다.

노사는 전날 오후 2시부터 10시까지 8시간가량 부평공장에서 수차례 정회와 속개를 거듭하며 교섭을 진행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한국GM 사측은 자금난을 이유로 이날까지 1천억원 규모의 복리후생비용 절감을 골자로 하는 자구안에 먼저 합의할 것을 노조에 요구했습니다.

그러면서 비용절감에 합의할 경우 희망퇴직 후 군산공장에 남은 근로자 680명이 해고를 피하도록 추가 희망퇴직과 전환배치, 무급휴직 시행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노조는 충분히 고통 분담을 할 수 있지만, 군산공장 고용과 신차 배정 문제를 먼저 확정해 비용절감 자구안과 일괄 타결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노조는 또 임금 동결, 성과급 미지급, 희망퇴직 등 사측이 제시한 임금 절감안을 모두 받아들였음에도 사측이 추가 자구안을 강요한다고 반발하며 좀 더 진전된 교섭안을 가져오라고 요구했습니다.

의견 차이가 크지만, 노사 모두 법정관리라는 파국만큼은 피하자는 데 공감하고 있어 이날 치열한 막판 협상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단 한국GM 사측은 이날 오후 8시 법정관리 신청 의결 안건을 상정하는 이사회를 열기로 일정을 잡아놨습니다.

노사가 극적으로 임단협 교섭에 합의할 경우 이사회는 열리지 않고 당장 법정관리 신청 위기를 피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반대로 합의가 끝내 불발된다면 사측은 이날 이사회를 거쳐 월요일인 23일 이후 채무 불이행 날짜에 맞춰 법정관리를 신청할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GM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추가 인력 구조조정은 물론이고, 생산 시설을 궁극적으로 폐쇄하면서 연구·디자인 센터와 판매 조직 정도만 국내에 남길 것이 유력시됩니다.

이 경우 한국GM의 1·2·3차 협력 부품업체와 원·부자재 납품업체 등 직간접적 이해관계자를 포함해 30만 명의 일자리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조민성 기자 mscho@sbs.co.kr]

☞ [단독] 특별사면과 평창…삼성의 은밀한 뒷거래
☞ [#Me Too 우리가 불편한 이야기] 바로 참여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