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한국GM 사태로 대리점 1천500곳→285곳 급감…"정부 지원 절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지엠(GM) 사태 장기화에 직격탄을 맞은 전국 한국GM 차량 판매대리점 점주들이 생존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한국GM 전국대리점발전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인천 한국GM 부평공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천500개가 넘는 대리점이 폐업하고 285곳만 남았다"며 "정부, GM, 노조 싸움에 대리점과 직원들만 직격탄을 맞았다"고 호소했습니다.

이어 "한국GM 사태가 두 달을 넘기는 동안 지난해 초 4천명에 달하던 카 매니저(영업 판매 사원)은 2천명 대로 반토막 났고 대리점 판매 수익 역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며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실제 경기도 부천에서 20년 넘게 한국GM 쉐보레 판매대리점을 운영한 강모(58) 대표는 18명이던 카 매니저(영업 사원)를 올해 9명으로 줄였다고 말했습니다.

대리점은 한국GM으로부터 받는 차량 판매 수수료와 지원금으로 이익을 내는데, 군산공장 폐쇄 이후 내수 판매가 반토막 나면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실제 한국GM 내수 판매량은 올해 1분기 들어 작년 같은 기간보다 47% 급감했습니다.

또 한국GM이 대리점에 지급하던 판매수수료와 지원금 비율을 지난해 6 대 4에서 8 대 2로 바꾸면서 지원금도 줄었습니다.

강 대표는 "차종에 따라 판매 수수료가 50만∼120만원까지 다양한데 1대를 팔면 평균 100만원을 받는다고 보면 된다"며 "이전에 매달 50∼60대를 팔던 걸 올해는 20대 넘게 팔아본 적이 없다"고 토로했습니다.

그가 운영하는 대리점은 한국GM 국내 철수설이 불거진 뒤 올해 1월 20대, 2월 20대, 3월 13대, 4월은 20일 현재까지 8대 판매고를 올렸습니다.

카 매니저들에게 판매 수수료의 60∼70%를 지급하고 나면 월세와 전기료 등 매달 1천800만∼2천만원에 달하는 고정비조차 감당할 수 없는 형편이라는 겁니다.

이러한 사정을 호소한 비대위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 17조에 따라 판매대리점도 세제 지원·신규 수요 창출· 고용 유지 등의 정부 지원을 받게 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카 매니저들의 고용 안정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국GM이 주는 판매 수수료를 현실화하고 폐업한 대리점에 위로금을 지급하는 방안도 제안했습니다.

협의회 관계자는 "대리점들의 피해 보상을 위해 법적 조치와 출고 거부까지도 불사하겠다"며 "GM이 대리점 구조조정과 자진 폐업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대리점 한 곳이라도 더 생존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말했습니다.

기자회견에는 전국 한국GM 판매대리점 점주 220여명이 참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박민하 기자 mhpark@sbs.co.kr]

☞ [단독] 특별사면과 평창…삼성의 은밀한 뒷거래
☞ [#Me Too 우리가 불편한 이야기] 바로 참여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