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원세훈 ‘국정원 댓글개입’ 5년만에 오늘 재상고심 결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 사건으로 재판에 넘겨진 원세훈(67) 전 국정원장에 대한 대법원의 두 번째 판단이 19일 내려진다. 2013년 6월 기소된지 4년 10개월 만에 최종 결론이 내려질지 주목된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김재형 대법관)는 이날 오후 2시 공직선거법 위반과 국가정보원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원 전 원장에 대한 재상고심 선고기일을 연다.

이 날 대법원이 선거법 위반 혐의 적용을 인정한다면 징역 4년의 실형이 확정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반대의 결론이 난다면 다시 2심 재판부로 공이 넘어갈 수도 있다. 양승태 대법원장과 첫 대법원 판결 때 주심을 맡았던 민일영 전 대법관은 2015년 9월 퇴임했다.

이밖에 이인복·이상훈·박병대·김용덕·박보영 대법관도 임기를 마치고 대법원을 떠났다.

이 사건 결론은 4번의 재판을 거치는 동안 계속 뒤집혔다. 박근혜 정부 초기 수사가 진행될 때부터 끊임없는 외압 의혹이 끊이지 않았고, 재판을 맡은 판사들에 대한 사찰이 이뤄진 정황도 나와 사법부 독립성을 의심하게 하는 논란도 계속 이어졌다.

1심 재판부는 국정원법 위반만을 유죄로 판단하고 징역 2년 6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했다. 국정원이 인터넷 댓글 부대를 운용하면서 대선과 관련된 여론을 조작했는데도 선거법 위반 혐의를 인정하지 않아 정권의 눈치를 봤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판결을 ‘지록위마(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는 뜻)’라고 비판에 나섰던 김동진 부장판사는 정직 2개월의 중징계를 받기도 했다.

반면 항소심 재판부는 선거법 위반 혐의도 모두 인정,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하고 원 전 원장을 법정 구속했다.

하지만 대법원은 2015년 7월 이 사건을 대법관 전원이 심리하는 전원합의체에 회부하고 “다시 심리하라”고 판결했다. 국정원 심리전단 요원들이 사용한 ‘425지논’, ‘씨큐리티’ 파일에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는 취지였다.

이 두 파일은 검찰이 주장한 공소사실 상당 부분을 뒷받침하는 주요 증거였다. 소수의견도 없이 심리에 참여한 13명이 만장일치로 ‘파기환송’ 결론을 내면서 사건으 또 뒤로 미뤄졌다. 법조계에서는 당시 ‘상고법원’ 도입을 추진하던 대법원이 정치권 눈치를 본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파기환송심을 맡은 서울고법은 2년 넘게 이 사건을 심리했다. 중간에 재판장이 바뀌었고, 재판부가 일부러 시간을 끈다는 의심도 받았다. 결국 지난해 8월에서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를 인정하고 징역 4년에 자격정지 4년을 선고하고, 보석으로 풀려났던 원 전 원장을 다시 구속했다. 이미 국정원이 선거를 도운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심판으로 파면이 된 후였다.

지난 1월 이른바 판사 ‘블랙리스트’ 조사 결과에서도 이 사건이 언급된다. 2심 판결을 앞두고 법원행정처는 항소심 재판부 판사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청와대에 전달한 사실이 드러났다. 당시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은 원 전 원장이 구속되자 대법원에 ‘전원합의체에 회부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좌영길 기자/jyg97@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